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30
한자 道路
영어공식명칭 Road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사람과 물자 수송을 위한 비교적 넓은 길

[개설]

도로는 일반적으로 두 지점 간에 사람과 물자를 경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합리적으로 설치한 지상의 시설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도로법」에 따르면 일반의 교통에 공용되는 도로로 고속도로,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를 지칭하며, 터널, 교량 등의 시설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부여군의 도로에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등이 있다. 2020년 기준, 개통 연장은 517.88㎞, 포장 구간은 457.91㎞이며 전반적인 포장률은 88.42%이다. 미포장 구간은 47.55㎞이며, 미개통 구간은 12.42㎞이다. 부여군의 고속도로 개통 연장은 21.49㎞이고 일반국도의 개통 연장은 104.62㎞이며 포장률은 100%이다. 지방도의 개통 연장은 148.37㎞이며 포장률은 82.19%이다. 시군도의 개통 연장은 243.40㎞이며 포장률은 86.22%이다.

현재 부여군 장암면에서부터 석성면을 연결하는 금강대교[가칭] 건설이 확정되어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장암면석성면을 오가려면 30㎞ 떨어진 부여대교나 황산대교를 이용해야 하지만 금강대교가 개통되면 양 지역을 오가는 시간이 5분 이내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속국도]

부여군을 통과하는 고속국도는 논산천안고속도로서천공주고속도로 2개 노선이 있다. 논산천안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과 논산시 연무읍을 연결하는 고속국도이다. 부여군에서는 초촌면을 통과하며, 부여군 구간은 2㎞에 불과하다. 충남 내륙 지역의 교통망 확충을 위하여 1997년 착공하였으며, 200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부여에서 호남고속국도를 이용하기 위한 주요 교통 통로로서 활용된다. 부여군 구간에는 논산천안고속도로의 나들목이 없어 인접한 논산시의 서논산IC를 이용해야 한다.

서천공주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의 지선고속도로로서, 서천군 화양면과 공주시 우성면을 연결하는 고속국도이다. 부여군에서는 규암면·구룡면·홍산면 등 부여군 북서부를 남북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 부여군 구간은 연장 19.5㎞에 달하며, 2009년 5월 개통되었다. 내산면 율암리에 부여백제휴게소, 은산면 가중리에 부여IC, 홍산면 무정리에 서부여IC가 있다.

[일반국도]

일반국도에 국도 제4호, 국도 제29호, 국도 제39호, 국도 제40호가 있다. 국도 제4호는 전라북도 부안군과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부여군에서는 옥산면부여읍·석성면 등 부여 북부를 통과한다.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35.2㎞이다. 금천 북변을 따라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홍산면 조현리에서 서천공주고속도로의 서부여IC로 진입할 수 있다. 국도 제4호를 따라 서쪽으로는 서천군, 동쪽으로는 논산시와 연결된다.

국도 제29호는 전라남도 보성군과 충청남도 서산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부여군에서는 양화면·임천면·장암면·규암면·은산면을 지나며, 부여군을 남북 방향으로 통과한다.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36.945㎞이다. 임천면 만사리의 만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8호와 분기하며, 임천면 점리의 점리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11호와 분기한다. 은산면 은산리의 은산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723호와 분기한다. 한편 규암면 나복리에서 서천공주고속도로의 부여IC로 진입할 수 있다. 국도 제29호를 따라 남서쪽으로는 서천군, 북쪽으로는 청양군과 연결된다.

국도 제39호는 부여군 은산면과 경기도 의정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은산면 신대리를 시점으로 남동쪽의 청양군 장평면으로 이어져 서천공주고속도로의 청양IC와 연결된다.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2.6㎞이며, 전 구간 왕복 2차로이다.

국도 제40호는 당진시 합덕읍과 공주시 신관동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부여군에서는 외산면 만수리·반교리, 내산면 지티리·율암리, 구룡면 태양리·구봉리·주정리, 부여읍 군수리·가탑리·정동리·저석리를 지나며, 부여군을 동서로 가로지른다.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38.544㎞이며, 왕복 2차로가 19.2㎞, 왕복 4차로가 19.344㎞이다. 구룡면 태양리에서 국도 제4호와 분기하며, 구룡면 구봉리부터 부여읍 가탑리까지 국도 제4호와 중복된다. 부여읍 저석리에서 지방도 제651호와 분기한다. 국도 제40호를 따라 서쪽으로 보령시 미산면, 동쪽으로는 공주시 탄천면과 연결된다.

[지방도]

부여군을 통과하는 지방도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 지방도 제606호, 지방도 제611호, 지방도 제613호, 지방도 제625호, 지방도 제723호, 지방도 제799호이며, 총 7개 노선이 지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는 충청남도 서천군과 경상북도 경주시 용강동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부여군에서는 양화면·임천면·세도면을 지나며, 부여군 남부를 남북 방향으로 통과한다. 서쪽으로는 서천군, 동쪽으로는 논산시 강경읍으로 연결된다.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18.55㎞이며, 일부 구간은 지방도 제723호, 국도 제29호와 분기하고, 양화면 벽용리에서 임천면 만사리까지의 9.46㎞의 구간은 국도 제29호와 중복된다.

지방도 제611호는 서천군 장항읍과 부여군 석성면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옥산면·홍산면·남면·장암면 등 부여군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25.54㎞이다. 옥산면 가덕리 가로공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13호와 분기하며, 홍산면 남촌리 남촌사거리에서 국도 제4호와 분기한다. 장암면 하황리에서 지방도 제625호와 합류하여 실질적으로 종료되며, 석성리까지의 도로는 미개설 상태이다.

지방도 제613호는 서천군 한산면과 부여군 은산면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옥산면·남면·홍산면·내산면·은산면 등 부여군의 서부를 지나며,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17.49㎞이다. 남쪽으로 옥산면 가덕리를 지나면 서천군 마산면 나궁리로 연결된다. 옥산면 가덕리에서 지방도 제611호와 합류하며, 홍산면 남촌리에서 국도 제4호와 교차하고, 지방도 제611호와 분기한다. 내산면 지티리에서 국도 40호와 합류하여 실질적으로 종료되며, 나령리까지의 도로는 미개설 상태이다.

지방도 제625호는 부여군 세도면과 공주시 우성면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세도면·장암면·규암면 등 부여군 동부를 ⊂자로 지나며,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28.396㎞이다. 시점은 세도면 가회리에서 지방도 제68호와 중첩되어 시작하며, 세도면 청포리에서 분기한다. 장암면 하황리에서 지방도 제611호와 합류하며, 장암면 석동리 석동삼거리에서 국도 제29호에 합류하여 서천공주고속도로 부여IC로 진출입할 수 있다. 한편, 규암면 합정리에서 백마강교를 지나 부여읍 정동리 정동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에 합류하면서 종료된다. 세도면 사산리는 일부 구간이 미개설 상태이다.

지방도 제723호는 익산시 석왕동과 충청남도 청양군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양화면·충화면·장암면·남면·구룡면·은산면 등 부여군을 남북 방향으로 지나며,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25.84㎞이다. 남동쪽으로 웅포대교를 건너 익산시 웅포면, 북동쪽으로 청양군 장평면과 연결된다. 양화면 벽용리에서 국도 제29호와 분기하며, 서천공주고속도로의 부여IC로 진입할 수 있다. 구룡면 구봉리 먹고개삼거리에서 국도 제40호와 분기한다. 그 외 지역에서도 국도 제4호, 국도 제39호, 지방도 제611호와 만난다.

지방도 제799호는 완주군 삼례읍과 공주시 탄천면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금강 동쪽의 석성면·초촌면을 지나며, 부여군 동부를 통과한다. 부여군 구간의 연장은 10.31㎞이다. 지방도 제799호를 따라 부여군 동남쪽으로는 논산시 성동면, 북동쪽으로는 공주시 탄천면으로 연결된다. 석성면 증산리의 석성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와 분기한다.

[참고문헌]
  •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 (국토교통부, 2021)
  •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 (국토교통부, 2021)
  • 교통량정보제공시스템(https://www.road.re.kr)
  • 국토정보플랫폼(https://map.ngii.go.kr)
  • 대전지방국토관리청(http://www.molit.go.kr)
  • 도로 및 보수 현황 시스템(http://www.rsis.kr)
  • 매일뉴스(https://www.mk.co.kr)
  • 충남인터넷뉴스(https://www.shanews.com)
  •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 한국도로공사(https://www.ex.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