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92
한자 尹文擧
영어공식명칭 Yun Mungeo
이칭/별칭 여망(汝望),석호(石湖),충경(忠敬)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6년연표보기 - 윤문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30년 - 윤문거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33년 - 윤문거 식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윤문거 어가를 호위하여 남한산성 입성
활동 시기/일시 1637년 - 윤문거 홍문관교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8년 - 윤문거 순검사 종사관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43년 - 윤문거 제천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45년 - 윤문거 벼슬에서 물러나 부여로 낙향
활동 시기/일시 1651년 - 윤문거 동래부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72년연표보기 - 윤문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56년 - 윤문거 충경(忠敬)이라는 시호를 받음
거주|이주지 봉두촌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제천 - 충청북도 제천시
부임|활동지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묘소|단소 윤문거 묘소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갈산리
사당|배향지 노강서원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오강리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파평(坡平)
대표 관직 동래부사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윤문거(尹文擧)[1606~1672]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여망(汝望), 호는 석호(石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윤돈(尹暾)이고, 할아버지는 윤창세(尹昌世)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윤황(尹煌)이고, 어머니는 성혼(成渾)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선교랑 이전(李瑑)의 딸 평창 이씨(平昌 李氏)이고, 아들은 윤단(尹搏)·윤원(尹援)·윤윤(尹掄)이다. 형은 윤훈거(尹勛擧)·윤순거(尹舜擧)·윤상거(尹商擧)이고, 동생은 윤성거(尹成擧)·윤선거(尹宣擧)이다.

[활동 사항]

윤문거는 1606년(선조 39)에 태어나 김집(金集)과 조익(趙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30년(인조 8)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33년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주서와 설서를 거쳐 사간원정언 등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청나라와의 화의론이 잘못되었음을 논한 계사를 올렸고, 겨울에는 어가를 수행하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다. 1637년 홍문관부수찬과 홍문관교리를 거쳐 1638년에는 순검사(巡檢使)의 종사관에 임명되어 삼남 지방 수군의 상황을 점검하였다. 1643년 제천현감으로 부임하였다.

윤문거는 1645년 벼슬에서 물러나 부여 석성(石城)의 봉두촌(鳳頭村)[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으로 낙향하여 생활하였다. 1650년(효종 1) 이후 몇 차례 승지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았고, 1651년 동래부사로 부임하였다. 윤문거는 동래부사 재임 시 학교를 수리하고 왜관에서의 물품 교역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비난을 받고 삭탈관직되었다.

윤문거는 1653년 이후 승지와 이조참의, 사헌부대사간, 성균관대사성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다가, 1672년(현종 13)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윤문거의 저술로는 문집인 『석호유고(石湖遺稿)』가 있다.

[묘소]

윤문거의 묘소는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갈산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윤문거는 1756년(영조 32)에 충경(忠敬)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고, 현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오강리의 노강서원(魯岡書院)과 석성면 봉정리에 있던 봉호서원(蓬湖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