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48
한자 千炳林
영어공식명칭 Cheon Byeongrim
이칭/별칭 천병일(千炳一),한일래(韓一來)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 8월 6일연표보기 - 천병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천병림 의열단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35년 - 천병림 민족혁명당 중앙검사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36년 8월 - 천병림 민족혁명당 화남지부 총책임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38년 4월 - 천병림 조선민족전선연맹 기관지 『조선민족전선』 발행
활동 시기/일시 1940년 - 천병림 『조선의용대통신』 중국어판 주편위원회 편집위원 및 지도위원회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43년 - 천병림 사망 추정
추모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 천병림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출생지 가증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민족혁명당 화남지부 총책임자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천병림(千炳林)[1896~1943]은 1896년 8월 6일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에서 태어났다. 1932년 10월 25일 재중국 조선독립운동 각 단체가 대일통일전선을 목적으로 조직한 한국 대일전선통일동맹에 의열단 대표로 참가하였다. 1935년 7월 5일 결성된 민족혁명당 중앙검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35년 9월 25일과 26일에는 이청천(李靑天) 등과 함께 군자금 마련을 위한 민족혁명당 매입 건 협의에도 참석하였다. 1936년 3월 민족혁명당 군사부 산술대수 교관에 임명되었고, 7월에는 전당대표회에서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다. 8월부터 민족혁명당 화남지부의 총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38년 4월에는 조선민족전선연맹 기관지 『조선민족전선』을 발행하였다. 1940년 『조선의용대통신』 중국어판 주편위원회(主編委員會) 편집위원 및 지도위원회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천병림은 1943년 의열단계 군관학교에서 간부훈련반 학생을 모집하고자 노력하였고, 군관학교의 연락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제1기생 교관으로 임명되어 주로 제국주의, 공화 정치, 공산주의 정치에 관한 해설 및 비판과, 현재의 정치 조직 등 정치학을 강의하였다. 동생 천병만을 시켜 부여에 거주하는 가족들을 2기생으로 입교하도록 하였다. 천병림천병일(千炳一), 한일래(韓一來)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으며, 1943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천병림의 공적을 기려 1994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