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96
한자 姜永直
영어공식명칭 Kang Yeongjik
이칭/별칭 강영식(姜永植),강영섭(姜永燮)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4년 8월 10일연표보기 - 강영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3년 8월 - 중국 강소성으로 망명하여 의열단 입단, 중국군관학교훈련단 2기생으로 입교
활동 시기/일시 1936년 4월 1일 - 강영직 국내에서 특수공작 중 일제 경찰에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37년 3월 8일 - 강영직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79년 5월 1일연표보기 - 강영직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강영직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출생지 봉정리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 중국 장쑤성 난징시
활동지 장쑤성 - 중국 장쑤성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강영직(姜永直)[1914~1979]은 1914년 8월 10일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에서 태어났다. 1933년 8월 중국 장쑤성[江蘇省]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입단하였다. 이후 의열단과 중국 국민당 정부 간 한중 연합의 결실로 난징[南京]에 설립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2기생으로 입교하였다. 당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의 운영은 교장 김원봉(金元鳳)을 비롯한 의열단 지도부가 담당하였다. 강영직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국내와 만주 지역의 요인 암살, 재만 항일단체와의 제휴, 선만(鮮滿) 노동·농민 계층에 대한 혁명적 준비 공작, 위조지폐 남발을 통한 만주국의 경제 교란, 특무 활동에 의한 물자 획득 등의 내용을 교육받았다.

강영직은 졸업 후 의열단의 지시에 따라 국내에 잠입하였다. 국내로 들어온 뒤 부여에서 천병만과 함께 활동하던 중 1936년 4월 1일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고, 1937년 3월 8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천병만은 당시 부여에서 남경으로 가족들을 보내며 요시찰인으로 주목받고 있었기 때문에 강병직과 천병만의 만남은 곧바로 일제 경찰에게 포착될 수밖에 없었다. 강영직강영식(姜永植)·강영섭(姜永燮)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으며, 1979년 5월 1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강영직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