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44
한자 曺秉順
영어공식명칭 Jo Byeongsun
이칭/별칭 조병학(曺秉學)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1년 7월 10일연표보기 - 조병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1년 - 조병순 공산주의연구협의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3년 - 조병순 무산주의협의회 결성
활동 시기/일시 1933년 - 조병순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3년 8월 - 조병순 일제 경찰에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35년 3월 1일 - 조병순 예심 진행 중 병보석으로 출옥
몰년 시기/일시 1935년 4월 9일연표보기 - 조병순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3년연표보기 - 조병순 대통령 표창 수훈
추모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조병순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
출생지 조현리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지도보기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독립유공자 2묘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조병순(曺秉順)[1911~1935]은 1911년 7월 10일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에서 태어났다. 1931년 봄 이호철(李戶喆)·노명우(盧命愚)·유기섭(柳基燮) 등과 함께 부여군 홍산면에서 사회주의를 보급하고 항일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농민조합을 조직하고자 하였으나 일제 경찰의 취체가 심하여 중단하였다. 이후 전영철(田泳哲)·강도형(姜道馨) 등 동지들을 규합하여 마정리·금송리·조현리·장하리·중정리 등 각 부락에 야학을 개설하였다. 또한 농민 자제들에게 한글·산술 등의 초등 교육을 실시하고 사회주의와 항일 독립 의식을 고취하는 데에도 힘을 쏟았다.

조병순은 1931년 10월 이호철·노명우·유기섭 등과 함께 공산주의연구협의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1933년에는 공산주의연구협의회를 발전적으로 해소하고 공산주의자협의회를 결성하여 부여군 농민들에게 사회주의를 보급하고자 애썼다. 공산주의자협의회는 4월에 홍산노동조합을 적색 노조로 개편하고 5월에는 비밀 결사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를 조직하였다.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는 이호철·전영철·유병철(柳秉哲)·오기영(吳麒泳)·유인철(柳寅喆)·최재봉(崔在鳳) 등을 각 지부의 조직 책임자로 삼고 조직을 확대해 나가고자 하였다. 1933년 7월에는 청년들을 규합하여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의 대외 위장 지부로서 대야구락부를 조직하여 항일 농민 운동을 전개하였다.

조병순은 1933년 8월 이른바 ‘금강문인회사건’ 또는 ‘금강공산협의회사건’으로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10월 7일에 공주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었으나, 1935년 3월 1일 병보석으로 출옥하였다. 조병순은 고문과 옥중 생활의 후유증으로 1935년 4월 9일 사망하였다. 조병학(曺秉學)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묘소]

조병순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조병순의 공적을 기려 1983년 대통령 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