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900677 |
---|---|
한자 | 廣岩里-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광암리 배실 마을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곽장근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3년 - 광암리 고인돌 전북 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
---|---|
소재지 | 광암리 고인돌 소재지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광암리 배실 마을
![]() |
성격 | 고인돌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광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순창군 순창읍에서 국도 27호선을 따라 전주 방면으로 가다 옥천 인재숙(玉川人材塾) 부근 삼거리에서 지방도 729호선을 따라 1.5㎞쯤 가면 순창군 팔덕면 광암리 배실 마을 어귀가 나온다. 이곳에서 태자 마을 쪽으로 100m 남짓 떨어진 지방도 729호선 남쪽 논둑 가장자리에 광암리 고인돌 1기가 있다.
2003년 전북 대학교 박물관 주관으로 『순창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해 실시한 지표 조사를 통해 학계에 처음 존재가 보고되었다.
덮개돌의 평면 형태는 마름모꼴로 북동-남서로 장축 방향을 두었다. 덮개돌은 길이 445㎝, 너비 290㎝, 두께 148㎝이며 굄돌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래 고인돌이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것과 달리 1기의 고인돌만 있는 점에서 오래전 논을 계단식으로 조성하면서 일부 고인돌이 유실되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현재 고인돌이 논둑에 있어 보존 상태도 좋지 않다.
광암리 고인돌은 순창군 고인돌의 분포 양상 및 의미를 파악하는 데 값진 자료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