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902100 |
---|---|
한자 | 馬屹里-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산76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태훈 |
소재지 | 마흘리 절터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산76(N35° 25′27.8″/ E127° 09′51.4″)![]() |
---|---|
성격 | 절터 |
지정 면적 | 7,334㎡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절터.
마흘리 절터의 절이 언제 세워지고 폐기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과거 조사에서 인근 주민의 증언에 선암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이와 같은 증언을 들을 수는 없었다. 여러 문헌을 조사해 보아도 이 지역에서 선암사라는 절 이름을 발견할 수는 없고, 현재 이 지역의 주민들은 마흘리 절터에 대해 잘 모른다고 한다.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대마흘 마을에서 동편으로 난 소로를 따라 약 600여m 정도 올라가면 절골 소류지가 나오는데, 절골 소류지의 북쪽으로 산죽밭이 보인다. 산죽밭 안으로 들어가면 무너진 건물 터와 함께 여기저기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지역이 마흘리 절터이다. 지정 면적은 7,334㎡이다.
현재 마흘리 절터에는 석축(石築)이 쌓여 있고, 대나무 사이로 기와 조각이 산재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