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0894 |
---|---|
한자 | 安東竹田洞三層石塔 |
영어공식명칭 |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Jukjeon-dong, Andong |
영어음역 | Andong Jukjeondong Samcheungseoktap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1139 |
시대 | 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정진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9년 1월 25일 - 안동죽전동삼층석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9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안동죽전동삼층석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탑|석탑 |
양식 | 삼층석탑 |
건립시기/연도 | 고려 전기 |
재질 | 석재 |
높이 | 2.98m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1139 |
소유자 | 국유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개설]
안동죽전동삼층석탑은 나말여초(羅末麗初)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1139에 위치한다. 풍산읍이라고는 하지만 읍의 북쪽 한계인 마을의 뒷산 외진 산중에 위치한다.
[형태]
안동죽전동삼층석탑의 높이는 2.98m이다. 이중기단의 탑으로 하대저석(下臺底石)과 지대석(地臺石)은 매몰되었다. 하대중석(下臺中石)은 면석(面石)을 각각 2개의 돌로 하고, 각 면에 모서리 기둥을 새겼으며, 한 개의 사잇기둥이 있다. 하대갑석(下臺甲石)과 상대갑석은 한 돌로 되어 있고, 상대중석은 4면이 각각 별개의 판석(板石)으로 되어 있으며, 역시 모서리 기둥과 한 개의 사잇기둥을 새겼다.
낙수면(落水面)은 약간의 경사가 져 있고, 밑에는 1단의 부연(副椽)과 위에는 2단의 굄이 있다. 탑신부(塔身部)의 몸체[옥신(屋身)]와 지붕돌[옥개석(屋蓋石)]은 각각 별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초층 몸체의 남면에는 장방형의 문이 새겨졌으나 자물쇠가 없는 것이 특이하다. 각 층의 층급받침은 초층 5단, 2층 4단, 3층 3단으로 점차 줄어든다. 지붕돌의 낙수면과 처마 끝의 변화는 예리하게 처리되었으며, 상륜부(相輪部)는 결실(缺失)되었다.
[현황]
1979년 1월 2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안동죽전동삼층석탑은 국가 소유로 안동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층급 받침의 상태나 각부의 구성 비례는 매우 조화되어 있어 비교적 소탑(小塔)이긴 하나 일반형 삼층석탑의 형식을 충실히 갖춘 일례(一例)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