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 정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587
한자 草溪 鄭氏
영어공식명칭 Chogyeo Cheo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익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초계(草溪) -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입향지 초계 정씨 거창 입향지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사마리
세거|집성지 초계 정씨 거창 집성지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강동 마을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초계 정씨 거창 집성지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장기리 사마 마을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초계 정씨 거창 집성지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산수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초계 정씨 거창 집성지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정배걸(鄭倍傑)
입향 시조 정제안(鄭齊安)

[정의]

정배걸을 시조로 하고, 정제안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거창군의 세거 성씨.

[개설]

거창의 초계 정씨(草溪鄭氏) 가문은 600여 년의 전통을 가진 명문 거족으로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16세의 나이에 사마 생원시에 합격한 정제안을 시작으로 충주 목사를 지낸 정종아(鄭從雅), 광주 판관을 지낸 정회아(鄭懷雅), 홍문관 교리를 지낸 정이아(鄭以雅), 강동으로 옮겨와 살면서 유학자로 이름을 날려 금계 서원(金溪書院)에 제향된 정옥견(鄭玉堅) 등이 있다. 또한 정유명(鄭惟明)은 뛰어난 문장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들의 입장을 밝힌 「경상우도 유생 원유소(願留疏)」를 지었고, 그의 아들 정온(鄭蘊)광해군영창 대군의 처형이 인륜에 어긋남을 상소하였다가 제주도 대정에서 10년간 귀양살이를 하였다. 정온은 병자호란 당시 치욕적인 화의가 성립되자 신하로서 군주의 욕됨을 볼 수 없다 하여 자결하려고 할복을 시도하였다. 그후 낙향하여 북상면 모리(某里)에서 은거하다 일생을 마쳤다. 사후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문간공(文簡公)의 시호를 받았다.

[연원]

초계 정씨의 시조는 고려 전기 학자로 이름을 떨친 정배걸(鄭倍傑)이다. 정배걸은 합천 초계 출신으로 고려 때인 1017년(현종 8)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벼슬이 예부 상서에 이르렀고, 고려 시대 사학 12도 중의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열어 많은 제자를 가르침으로서 해동 유가(儒家)의 대가로 일컬어졌다. 이때부터 후손들은 정배걸을 시조로 하고 초계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왔다. 초계 정씨는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박사공파(博士公派),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로 나뉘어 있는데, 거창군에 세거하는 파는 박사공파 후손들이다.

[입향 경위]

초계 정씨가 거창에 뿌리를 내리게 된 때는 조선 태종 때로, 정제안(鄭齊安)이 합천 초계에서 이주해 자신의 처가 동네인 위천면 사마리에 정착하면서부터이다.

[현황]

1934년 조사된 조선 총독부의 자료에 의하면 거창의 초계 정씨위천면 강천리(薑川里)에 50가구 232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2003년 현재 거창군에는 272가구 71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관련 유적]

거창 지역 초계 정씨와 관련된 유적은 정온 선생 종택[중요 민속 자료 제205호], 모리재[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307호], 반구헌[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232호]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