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 정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595
한자 晉陽 鄭氏
영어공식명칭 Jinyang Jeong Clan
이칭/별칭 진주 정씨(晋州 鄭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어윤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지 진양 정씨 입향지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세거|집성지 진양 정씨 세거지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병곡리
성씨 시조 정자우(鄭子友)
입향 시조 정방(鄭房)

[정의]

정자우(鄭子友)를 시조로 하고 정방(鄭房)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거창군의 세거 성씨.

[개설]

거창군 가북면 용산의 진양 정씨(晉陽鄭氏)는 은열공(殷烈公) 정신열(鄭臣烈)을 파시조로 하는 은열공파(殷烈公派)로 현조(顯祖)[이름이 높이 드러난 조상] 진양군 정천익(鄭天益)은 문과에 장원했으며 문익점(文益漸)의 장인이다.

거창 입향조는 11세 정방(鄭房)이다. 정방의 증손 14세 정필달(鄭必達)은 학문이 깊고 총명하여 문과에 급제함으로써 문호를 빛냈다.17세 정보휘(鄭葆輝)는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창의하였다. 23세 정재규(鄭載奎)는 1894년 진사가 되었다. 24세 구재(苟齋) 정재성(鄭載星)은 한말의 유학자 곽종석(郭鍾錫)의 고제(高弟)로 학문이 깊었고 많은 양의 문집을 남겼다. 후손들이 가북의 다전과 용산, 북상의 병곡에 집성촌을 이루었으나 지금 잔류하고 있는 사람은 소수이다.

[연원]

진양 정씨는 일명 진주 정씨(晋州鄭氏)라 일컫기도 하며 그 계파가 복잡하여 동성동본이면서 정예(鄭藝)·정자우(鄭子友)·정장(鄭莊)·정헌(鄭櫶)을 중시조로 하는 네 계열이 존재한다. 비록 서로 중시조를 달리하고 있으나, 신라 말을 전후하여 조상을 같이했을 것으로 짐작되며, 신라 6촌 중 취산진지촌(觜山珍支村)의 촌장인 낙랑후(樂浪侯) 지백호(智伯虎)진양 정씨를 비롯한 모든 정씨의 도선조로 보고 있다. 정자우의 6세손 은열공(殷烈公)이 파조인데, 7세 정현취(鄭玄就)와 기세조(起世祖) 정진경(鄭晋卿) 사이에 계대(繼代)가 확실하지 못해 정진경(鄭晋卿)을 다시 1세조로 삼으며, 문충공 정천익이 4세이다.

[입향 경위]

입향조 11세 정방은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지역인 삼가현 구평리에 살다가 거창의 장인 장사랑 조언명(曺彦明)이 아들이 없어서 처가살이로 거창 가북의 다전[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에 입향하게 되었다.

[현황]

2000년 통계에 의하면 진양 정씨의 거창군 내 분포는 164가구에 460명으로 집계되었다. 대표적인 집성촌은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 있었으나 지금 잔류한 사람은 15가구 정도이다. 그 외 집성촌은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거창군 북상면 병곡리에 있다.

[관련 유적]

용은정(龍隱亭)은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에 있으며, 입향조 정방을 기려 후손들이 1936년에 세웠다. 낙모대(落帽臺)범국회(泛菊會) 회원들이 풍류를 즐긴 곳으로, 계안 서문을 정필달이 찬했다. 팔송정 선생(八松鄭先生) 숭모비(崇慕碑)는 용산숲 곁에 있으며, 정필달의 학덕을 기려 1994년에 세웠다. 광석정(廣石亭)은 가북면 용산리에서 우혜리 가는 쪽에 있으며, 맑은 냇가에 있는 반석이다. 정필달이 선비들과 시를 읊조리던 곳이다. 구재공(苟齋公) 유적비(遺蹟碑)는 가조면 일부리 녹동에 있으며, 정재성의 학문과 덕행을 기려 세웠다. 모구정(慕苟亭)은 가조면 일부리 녹동에 있으며, 23세 정재성을 추모해 후손과 연참계원(聯槧契員)들이 세웠다. 다산재(茶山齋)는 가북면 중촌리 동촌 마을에 있으며, 입향조를 위시해 선조들을 추모하기 위해 지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