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418 |
---|---|
한자 | 産業構造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장섭 |
광주광역시의 전체 산업에서 각 산업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과 각 산업의 상호관계.
모든 산업에서 각 산업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을 산업 구조라고 하며, 경제 발전 정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산업 구조의 변화는 제1·2·3차 산업의 3단계 과정으로 분류한다.
2019년 기준 광주광역시 사업체 수는 도소매업 3만 1799개[25.7%], 숙박·음식점 2만 742개[16.8%], 협회·수리·개인 서비스 1만 4132개[11.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18년 대비 사업체 수는 농업, 임업 및 어업[-7%]를 제외한 전기·가스·수도[57.3%], 운수 및 창고업[15.7%] 등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였다. 조직 형태별로는 개인사업체가 9만 5747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 대비 회사법인 사업체 수 비중이 7.1% 증가하였다. 종사자 규모별로 분류하면 1~4명 규모의 사업체가 9만 9468개로 가장 많으며, 2018년 대비 5~9명 규모의 사업체가 7.4%의 증가율을 보이며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2019년 기준 광주광역시 사업체 종사자 수는 도소매업 9만 4194명[14.9%], 제조업 8만 5858명[13.6%],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7만 3598명[11.6%], 숙박·음식점 6만 4721명[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대비 종사자 수 증가율은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20.0%], 정보통신업[16.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 형태별로는 회사법인 25만 9474명, 개인사업체 24만 7238명, 회사 이외 법인 9만 9768명, 비법인단체 2만 5396명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