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함경기대이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921
한자 和咸卿寄大而韻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607년 - 유계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64년 - 유계 사망
배경 지역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유계

[정의]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유계가 전라도 광주 지역에 위치한 무등산을 유람하고 지은 한시.

[개설]

「화함경기대이운(和咸卿寄大而韻)」을 지은 유계(兪棨)[1607~1664]의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1630년 진사과에 합격하고, 1633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척화를 주장하였다고 하여 유배되었다가 1639년에 풀려났으나 관직을 포기하였다. 충청도 금산(錦山)의 마하산(麻霞山)[현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덕기봉]에서 학문에 전념하다가 1644년 이래로 주서(注書), 무안현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대사헌, 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성리학을 비롯하여 예론과 사학에 능하였다. 저서로 『가례원류(家禮源流)』, 『시남집(市南集)』, 『여사제강(麗史提綱)』, 『강거문답(江居問答)』 등이 있다. 「화함경기대이운」은 『시남집』 제4권에 실려 있다.

[구성]

「화함경기대이운」은 1구에 7자씩 모두 8구로 이루어진 칠언율시이다.

[내용]

화함경기대이운(和咸卿寄大而韻)[함경이 대이에게 준 시에 화답하여]

서석산련금수청(瑞石山連錦岫靑)[서석산 비단 봉우리 푸르게 이어지는데]/ 춘천동망수명명(春天東望樹冥冥)[봄날 동편을 바라보니 숲은 그윽하기만 해]/ 음용묘약인천리(音容杳若人千里)[아득한 모습 인간세계와 천 리나 떨어진 듯]/ 금포요동월일정(襟抱遙同月一庭)[뜨락에 뜬 달처럼 그리움은 멀리서도 같겠지]/ 호경시성화리관(好景詩成花裏館)[좋은 경치는 화초 속 집에서 시를 읊게 하고]/ 청풍금롱죽간정(淸風琴弄竹間亭)[맑은 바람은 대나무 사이 정자에서 거문고를 타게 하네]/ 자련장해장쇠질(自憐瘴海長衰疾)[아쉬워라 바닷가 나쁜 기운으로 생긴 오랜 병 때문에]/ 포각준뢰내독성(抛却樽罍耐獨醒)[술을 마다하고 혼자서만 맨정신에 있구나]

[특징]

봄을 맞아 무등산을 찾은 유계는 「화함경기대이운」에서 푸르름으로 가득한 산의 모습을 마치 인간 세상이 아닌 듯하다고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어지는 내용에서 아름다운 자연 안에서 흥취를 온전히 즐기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읊고 있다. 전체적으로 선경후정(先景後情)[시에서 앞부분에 자연 경관이나 사물을 묘사하고 뒷부분에 자기의 감정이나 정서를 그려 내는 구성]의 짜임새를 갖추고 있는 시이다.

[의의와 평가]

유계의 「화함경기대이운」무등산의 봄 경치를 서정적이면서도 감각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또한,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어 무등산권 문학으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