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1299 |
---|---|
한자 | 安宅 |
영어음역 | antaek |
영어의미역 | shaman rite to appease the household god |
이칭/별칭 | 안택기도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집필자 | 한금순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새해를 맞아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집안 곳곳에 깃들어 있다고 믿는 가신(家神)들에게 행하는 가정 단위의 제사.
[개설]
정월에 택일하여 집안신인 터주신·성주신·조상신·조왕신·삼신 등에게 제사 지낸다. 직업이나 각 가정의 소망에 따라 특별히 기도하는 신이 정해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산에서 일을 하는 사람은 산신을, 어부는 배 성주를, 해녀는 용왕신을 위하기도 한다.
안방을 비롯하여 부엌 등에 시루떡이나 나물 등의 제물을 차려 놓고 제사 지낸다. 의례는 불교식으로 승려가 주관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무당 혹은 판수 또는 주부가 담당하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 등의 제천의식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이들 제천의식은 고려 때는 불교의 영향으로 팔관회에서 천신·용신·산신 등에게 제사 지내는 것으로 맥을 이었다. 조선시대에 제천의식이 금지되면서 점차 가정의례로 변모되어 안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조상신은 신주단지에 모셔지는데 항아리에 쌀을 담아 넣고 터주신은 항아리에 쌀을 담고 그 위에 짚으로 주저리를 만들어 덮어 모시는 등으로 각 신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습을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조왕신에게 올리는 정화수로 부엌에 마련된 작은 종지에 매일 아침 물을 갈아 놓는다.
[절차]
택일하면 부정한 것을 보지 않기 위해 바깥 출입을 삼간다. 상가 출입을 금하고 대문에 금줄을 쳐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대문 앞에 황토무지를 만들어 놓기도 한다. 불교식으로 제를 지내고자 할 때는 승려가 제관이 되어 절차에 따라 불공을 올리는 등 각 가정에서 선택하는 방법에 따라 무당 혹은 주부가 제관이 되어 제를 진행한다.
안방이나 부엌 등에 떡·쌀·술·나물·과일 등의 제수(祭需)를 차려서 제사를 진행한다. 집안마다 직업이나 소원할 일에 맞게 신을 모신다. 제사가 끝나면 소지(燒紙)를 올린다. 마지막으로 청수로 부정치기를 한다. 백설기, 쌀, 실, 돈, 시라목, 백지, 마제, 삼색나물, 과일, 향, 초, 술 등을 차린다. 가정의 제사이므로 가정에서 부담한다.
[현황]
불교식으로 승려가 주관하는 안택 기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무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나, 급속히 줄어드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