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609
한자 崔龍蘇
영어공식명칭 Choe Yongso
이칭/별칭 제정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안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370년(공민왕 19) - 최용소 전라도체복사로 파견됨
활동 시기/일시 1394년(태조 3) - 최용소 회례사가 됨
활동 시기/일시 1397년(태조 6) - 최용소 상의중추원사가 됨
활동 시기/일시 1398년(태조 7) - 최용소 강원도감찰사가 됨
활동 시기/일시 1400년(정종 2) - 최용소 방간의 모반에 연좌되어 하옥되었다 방면됨
활동 시기/일시 1400년(정종 2) - 최용소 검교참찬문하부사로 좌천됨
활동 시기/일시 1403년(태종 3) - 최용소 승녕부윤으로 복직됨
활동 시기/일시 1403년(태종 3) - 최용소 좌군총제|안동부사|개성부유후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13년(태종 13) - 최용소 형조판서가 됨
활동 시기/일시 1414년(태종 14) - 최용소 판한성부사가 됨
몰년 시기/일시 1422년(세종 4)연표보기 - 최용소 사망
사당|배향지 조치원 봉산영당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 193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강화

[정의]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조치원읍 봉산리조치원 봉산영당에 영정이 배향된 인물.

[개설]

최용소(崔龍蘇)[?~1422]는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정치가이자 문신이다. 조치원읍 봉산리최용소의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으며 최용소의 영정을 모신 조치원 봉산영당(鳳山影堂)이 남아 있다.

[가계]

최용소는 본관(本貫)이 강화(江華)로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세거하는 강화최씨 선조이다. 봉산리 강화최씨제정공 최용소의 후손들인 제정공파(齊貞公派)이다.

[활동 사항]

최용소는 성품이 청백하면서도 절개가 굳고 언행이 정중하였다. 고려 공민왕 때 의릉직(毅陵直)에 제수(除授)된 후 감찰규정(監察糾正), 계림부판관(鷄林府判官), 이성등처관군만호(泥城等處管軍萬戶) 등을 역임하였다.

1370년(공민왕 19) 당시 전라도체복사(全羅道體覆使)로 파견되어 민심을 위로하여 달래고 같은 해 7월에 돌아왔다. 돌아온 후 신돈(辛旽)을 먼저 본 뒤에 왕을 알현하였다는 이유로 장형(杖刑)을 받기도 하였다. 고려 후기 공조전서를 지냈다.

1394년(태조 3)에는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 구주(九州)[규슈]에 파견되었다.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인 이미카와[令州了俊]에게 왜구를 토벌하여 양국의 우호를 도모하자는 국서를 전달하였다. 이미카와가 차견(差遣)[사람을 시켜서 보냄]한 승려 종구(宗俱)와 함께 피로인 570여 명을 대동하고 귀국하였다.

1397년(태조 6)에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1398년(태조 7)에는 강원도관찰사를 지냈다. 1400년(정종 2)에 3군 도진무(都鎭撫)로 재직하던 중 방간(芳幹)의 모반에 연좌되어 하옥되었다가 방면되었다. 그러나 곧 검교참찬문하부사(檢校參贊門下府事)로 좌천되었으며 곧 재차 논죄(論罪)[죄과를 논의하여 형을 결정하여 적용함]되어 삭직(削職)[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장형을 받았지만 태종이 즉위하면서 사면되었다.

1403년(태종 3) 승녕부윤(承寧府尹)으로 복직하고 같은 해 좌군총제(左軍總制)에 개수(改授)된 뒤 안동부사, 개성부유후 등을 역임하였다. 1413년(태종 13) 형조판서로 한성부윤 김겸(金謙)과 함께 하정사(賀正使)[조선시대에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 새해를 축하하러 중국으로 가던 사신]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판한성부사가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전라도의 조운책(漕運策)에 대한 진언(陳言)을 올리기도 하였다.

명나라에 들어가 옥하관(玉河館) 건축 당시 감독을 맡으면서 명성을 얻기도 하였다. 최용소 사후 명나라 성조가 최용소를 다시 볼 수 없다는 것을 한탄하며 화공에게 시켜 최용소의 영정 2폭을 그리게 한 후 1폭을 후손들에게 주어 조치원 봉산영당을 건립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묘소]

족보에 따르면 최용소의 묘는 죽산(竹山) 지내동(池內洞)에 있으며 상석과 신도비가 남아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최용소의 영정을 봉안(奉安)한 조치원 봉산영당이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에 향사(享祀)를 지내고 있다. 시호(諡號)[제왕이나 재상, 유현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는 제정(齊貞)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