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541
한자 農德里屯德支石墓群
이칭/별칭 둔데기 고인돌,둔덕재 지석묘+I524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둔덕 마을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영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농덕리 둔덕 고인돌 떼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둔덕 마을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목포 대학교 박물관 -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도림리 61
성격 고인돌
양식 기반식|개석식
크기(높이,지름) 425㎝[마군 고인돌 길이]|235㎝[마군 고인돌 폭]|120㎝[마군 고인돌 두께]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둔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위치]

농덕리(農德里) 둔덕(屯德) 고인돌 떼는 둔덕 마을 주변 6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둔덕 마을에서 농덕 저수지를 지나 둔덕 마을 북쪽의 산길을 따라 약 400m 떨어진 야산의 중턱에 해당하는 길 우측 논둑에 4기가 있다. 나군은 둔덕 마을 남동쪽 끝에 둔덕재 쪽으로 올라가는 소로(小路)를 따라 약 250m 떨어진 논 주위에 5기가 있다. 다군은 선황정 마을에서 둔덕 마을의 선황 저수지 약 150m 못 미쳐 도로 좌측 야산의 말단부에 6기가 있다. 라군은 선황정 마을에서 둔덕 마을의 선황 저수지 약 200m 못 미쳐 도로 우측에 7기가 있다. 마군은 둔덕 마을에 위치하는 삼효각(三孝閣)에 약 100m 못 미쳐 소로 우측에 7기가 위치한다. 바군은 둔덕 마을의 남서쪽에 위치하는 선황 저수지에서 남쪽으로 약 150m 떨어진 야산의 말단부에 16기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86년 목표 대학교 박물관에서 농덕리 둔덕 고인돌 떼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였다.

[형태]

농덕리 둔덕 고인돌 떼의 가군은 4기의 고인돌이 동서 방향으로 모여 있으며 논 경작으로 일부 파괴되어 있다. 가장 큰 고인돌은 길이 250㎝, 폭 200㎝, 두께 80㎝ 정도이고 타원형 형태이다. 덮개돌 위에는 13개의 성혈(性穴)이 있으며 하부가 일부 파괴되어 노출되어 있다. 나군은 10여 기 이상의 고인돌로 보이는 석재가 논 주위에 매몰되어 있으나 받침돌이 있는 5기만 형태가 확실하다. 가장 큰 고인돌은 길이 340㎝, 폭 250㎝, 두께 120㎝ 정도이고 부정형 형태로 하부에 받침돌이 있는 기반식 고인돌이다. 다군은 6기로 덮개돌은 대부분 이동되었거나 파괴된 상태이며 잡목이 우거져 받침돌의 유무도 알 수 없다. 라군은 7기가 있으며, 2기는 논 경작으로 파괴되어 길가로 옮겨져 논둑에 포개져 있으며 나머지 5기의 덮개돌도 논에 매몰되어 있다. 마군은 7기가 남북 방향으로 2열을 이루고 있고, 이동되었지만 원형을 알 수 있는 것 5기, 논둑에 묻혀 원형을 알 수 없는 것 2기 등이 있다. 가장 큰 고인돌은 길이 425㎝, 폭 235㎝, 두께 120㎝ 정도이고 마름모 형태이다. 바군은 기존에 17기였으나 2013년 현재 13기의 고인돌이 남북 방향으로 2열을 이루고 있으며, 잡풀이 우거져 정확한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다. 가장 큰 고인돌은 길이 340㎝, 폭 260㎝, 두께 200㎝ 정도의 괴석형이다. 대부분의 고인돌이 반파되거나 기울어져 있으며 11개의 바위 구멍[性穴, 바위그림의 한 종류로서 돌의 표면에 파여 있는 구멍]이 있는 덮개돌도 있다.

[출토 유물]

고인돌 나군 주변에서 홈자귀[有溝石斧] 1점이 수습되었다.

[현황]

농덕리 둔덕 고인돌들은 산사면, 논과 밭둑에 묻혀 있거나 매몰된 것이 대부분이며, 일부는 파괴되었거나 이동된 것도 있다. 바군의 경우 일부 반파되었거나 기울어진 것도 있지만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다. 1986년 처음 조사가 실시되었을 때 둔덕재 지석묘군은 둔덕 고인돌 나군으로, 둔데기 지석묘군은 둔덕 고인돌 마군으로 명칭이 정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농덕리 둔덕 고인돌 떼는 조그마한 분지 지형과 분지에서 둔덕재로 넘어가는 곳 모두 6군데에 45기 정도가 밀집 분포하고 있다. 둔덕재 정상부에도 14기가 분포하고 있어 모두 60여 기나 된다. 고인돌이 1열 또는 2열로 열상 배치되어 있고, 다른 지역에 비해 덮개돌 상면에 바위 구멍이 많이 새겨져 있다. 때문에 농덕리 둔덕 고인돌 떼는 고인돌 연구뿐 아니라 성혈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