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83
이칭/별칭 지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전라북도 순창군
성격 생활 용구
재질 나무|짚
용도 작업용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물건을 등에 지고 나르는 데 썼던 도구.

[개설]

지게는 짐을 얹어 어깨와 등에 메고 나르는 데 사용한 연장으로,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다. 지게는 일반적으로 짐을 실어 나르는 ‘지게’와 쟁기를 싣고 다녔던 ‘쟁기지게’, 거름을 낼 때 썼던 ‘거름지게’가 있다. 지게는 세고 자리, 윗세장, 멜빵 세장, 허리세장, 가지, 등태, 목발, 멜빵[밀삐], 탕개, 지게 작대기, 고리 등으로 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지게는 사용하는 사람의 키에 맞춰 다르게 만들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지게의 경우 1m에서 큰 것은 1.5m가 되는 것도 있었다. 산골에서 쓰는 지게는 비탈에서도 지고 다니기 쉽도록 목발을 짧게 만들어 썼고 평야 지대에서 썼던 지게는 목발이 길다. 지게로 나를 수 있는 짐의 종류는 다양하나 흙이나 거름 등을 나를 때는 싸리나무로 만든 바작[대자리]에 실어 냈다. 볏단이나 보릿단과 같이 부피가 큰 물건을 나를 때는 새고자리에 작대기를 덧붙여서 쓴다.

[형태]

순창 지역에서는 지게를 만들 때 소나무 중에서 ‘y’ 자 모양으로 생긴 나무를 잘라 만들었다. 가운데 부분인 세장은 밤나무로 4~5개를 만들어 끼웠으며, 이 세장이 빠지지 않게 탕개를 틀어 단단히 고정시켰다. 두 번째 세장과 아래 세장 사이에는 짚으로 엮은 등태를 붙이고, 어깨에 메는 멜빵은 멜빵 세장에 매고 아래쪽은 몸통 중간이나 목발에 맨다. 작대기는 밤나무가 질겨서 제일 좋은 나무로 치는데 아카시 나무를 쓰기도 한다. 멜빵은 35~40개의 짚으로 머리를 따듯이 세 갈래로 땋아 내려 위아래를 묶어서 사용한다.

쟁기지게는 가지 길이가 15㎝ 정도로 짧고 새고자리 쪽에 가깝게 있어 여기에 쟁기를 얹어 운반한다. 거름지게는 40~50㎝ 되는 2개의 나무토막에 판자로 된 등태를 박고, 한 팔 되는 길이의 곧은 나무를 가지에 묶은 다음 거름통을 거는 갈고리를 양 끝에 매달았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어른의 경우 지게에 보통 30~50㎏ 정도 되는 물건을 메고 나르는데, 단거리는 100㎏ 이상도 메고 옮기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박호석 외, 『한국의 농기구』(어문각, 2001)
  • 동계 면지 발간 위원회, 『동계 면지』(순창군 동계면, 2011)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http://encykorea.aks.ac.kr)
  • 인터뷰(대산리 신기식, 남, 75세, 201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