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2189
한자 李安訥
이칭/별칭 자민(子敏),동악(東岳),문혜(文惠)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영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1년 - 이안눌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8년 - 이안눌 진사시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9년 - 이안눌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01년 - 이안눌 명나라에 다녀옴
활동 시기/일시 1610년연표보기 - 이안눌 순창 군수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13년 - 이안눌 경주 부윤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17년 - 이안눌 강화 부사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이안눌 예조 참판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31년 - 이안눌 함경도 관찰사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34년 - 이안눌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이안눌 형조 판서 겸 홍문관 제학에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37년 - 이안눌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37년 - 이안눌 숭록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663년 - 이안눌 문혜(文惠) 추시
출생지 이안눌 출생지 - 서울
수학지 이안눌 수학지 - 서울
부임|활동지 이안눌 부임지 - 전라북도 순창군
묘소|단소 이안눌 묘소 - 충청남도 당진군 정미면 사관리 산24-3
사당|배향지 구산 서원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남산리
사당|배향지 동악 서원 - 충청남도 당진군 송산면 명산리
성격 문관|시인|순창 군수
성별
본관 덕수(德水)
대표 관직 형조 판서

[정의]

조선 후기 순창 군수를 지낸 문관이자 시인.

[가계]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민(子敏), 호는 동악(東岳). 증조할아버지는 좌의정 이행(李荇), 할아버지는 이원정(李元禎), 아버지는 진사 이형(李泂)이다. 어머니는 경주 이씨로 대호군(大護軍) 이양(李崵)의 딸이다. 재종숙부인 사헌부 감찰 이필(李泌)의 양자가 되었다.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이다.

[활동 사항]

이안눌(李安訥)[1571~1637]은 1571년(선조 4) 한양에서 출생하여 1588년 진사과 초시에서 장원 급제하였으나 시기와 모함을 받자 과거 공부를 폐하고 고문사(古文詞)에 진력하였다. 이 시기에 동년배인 권필(權韠), 선배인 윤근수(尹根壽)·이호민(李好閔) 등과 교우 관계를 맺고 시문학에 정진하였다. 이들의 모임을 동악 시단(東岳詩壇)이라고 한다. 1599년(선조 32) 정시(庭試) 문과에 급제, 형조·호조·예조의 정랑을 지냈다. 1601년 진하사(進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에 성균 직강(成均直講), 예조 정랑, 공조 정랑, 단천 군수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1607년(선조 40) 홍주 목사, 동래 부사를 거쳐 1610년(광해군 2) 담양 부사, 순창 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1613년 경주 부윤이 되었다가 1615년 호조 참의 겸 승문원 부제조로 전임되었다. 그 후에 동부승지·좌부승지 등을 거쳐 1617년 강화 부사로 나갔다. 이후 모친상을 당해 삼년 거상(居喪)을 하고,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뒤 예조 참판에 임명되었다가 곧 형조 참판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에 연루되었다는 죄목으로 함경도 경성(鏡城)에 귀양을 갔다가 1627년 1월 사면을 받았다. 1628년 강화 유수(江華留守)에 임명되었다.

1631년(인조 9) 함경도 관찰사가 되고, 이듬해 인조의 친아버지 정원군(定遠君)[원종]의 추숭(追崇) 문제로 주청사(奏請使)의 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1633년 예조 판서 겸 예문관 제학을 거쳐 1634년 충청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1636년 김상헌(金尙憲)·김덕함(金德諴)·김시양(金時讓)·성하종(成夏宗) 등과 함께 청백리에 선발되었고 형조 판서 겸 홍문관 제학에 제수되었다. 그 해 겨울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병든 몸을 이끌고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였다가 병세가 악화되어 이듬해인 1637년(인조 15)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평생 시작(詩作)에 힘써 시 4,379수를 남겼다. 당시(唐詩)에 뛰어났다. 권필과 우의가 깊고 시명(詩名)이 비등(比等)하여 세상에서는 두 사람을 이백과 두보에 비유하였다. 두보의 시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목릉성세(穆陵盛世)’[목릉은 선조와 그 비들의 능인데, 이 시기는 학문과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어 한문학의 정절을 이루었음을 일컫는 말]를 대표하는 시인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였다. 또 기상(氣像)과 격조를 중시하는 한유(韓愈)를 배워 두보에 이른다는 ‘기한범두(基韓範杜)’의 학시법(學詩法)을 제시, 동시대의 다른 시인들과 차별된 면모를 보였다. 칠언 율시가 특장이다.

시를 지을 때에 한 글자도 가볍게 쓰지 않았고, 마음에 맞지 않으면 버렸기 때문에 남은 작품이 우수하다는 평을 받는다. 시풍을 보면 고답적인 내용보다 현실에서의 절실한 문제를 주로 다루었고, 사실적 표현이 돋보인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의 참상을 형상화한 것은 사실적 표현의 압권이다. 저서로 『동악집(東岳集)』 26권이 있다. 24권까지가 시이며, 제25권은 부(賦), 제26권은 산문이다. 시 작품은 지방관으로 재직할 당시 남긴 것이 많으며, 벼슬살이를 한 고을을 중심으로 묶여 있다. 조선 후기 민중 생활사와 사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묘소]

충청남도 당진군 정미면 사관리 비석말에 있다.

[상훈과 추모]

사망한 해인 1637년(인조 15)에 숭록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담양의 구산 서원(龜山書院)과 당진의 동악 서원(東岳書院)에 제향되었다. 1663년(현종 4) 문혜(文惠)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