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690
한자 三畏堂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밭매우길 6[매우리 25]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신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856년 - 삼외당 중건
현 소재지 삼외당 현 소재지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밭매우길 6[매우리 25]지도보기
성격 정자
양식 팔작지붕 기와집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개설]

삼외당(三畏堂)선조 대 봉정대부(奉正大夫)로 사헌부 감찰, 문경 현감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김천일(金千鎰) 막하에 들어가 여러 차례 공을 세운 순창 출신 홍함(洪涵)[1549~1593]의 정자이다. 홍함이 관직에서 물러나 임진왜란에 출전하기 전에 정자를 지어 자신의 호를 붙여 삼외당이라 이름 붙이고 백호(白湖) 임제(林悌)[1549~1587], 충강공(忠剛公) 김제민(金齊閔)[1527~1599], 충장공(忠壯公) 양대박(梁大樸)[1544~1592] 등 당대 명사들과 교류하며 시문을 즐기던 곳이다.

삼외당이 있는 마을 이름을 모정리(茅亭里)라 한 것은 삼외당·청취정 등의 정자에서 유래한 듯한데, 현재는 매우리(梅宇里)로 바뀌었다. 매우리는 마을 뒷동산의 형상이 집안에 매화꽃이 만발한 모양이라 하여 붙여졌다.

[위치]

삼외당지방도 730호선에서 금과 농협을 지나 도보로 5분여 거리에 있다. 주소지는 순창군 금과면 밭매우길 6[매우리 25]이다.

[변천]

정자 상량문에 ‘숭정 기원 후 사 병진 이월 십오 일 입주(崇禎紀元後四丙辰二月十五日立柱)’라는 기록을 통해 1856년(철종 7)에 중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형태]

삼외당은 화강암 지반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주간 거리 180㎝] 규모의 팔작지붕 기와로 지은 정자이다.

[현황]

삼외당 주위에는 오래된 느티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정자에서 바라보면 왼편으로 2000년 순창 여자 중학교에 흡수 통합된 금과 중학교, 오른쪽으로 금과 초등학교가 자리한다. 현재 정자에는 임제, 김제민, 양대박 등 당시 명사들과 여러 선비들이 교류하며 읊은 시문의 현판이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때 의병장 등으로 참여한 당대 명사들의 교류 무대로 고풍스러운 향토 경관을 잘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