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낙하정 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834
한자 落霞亭遺稿
이칭/별칭 『낙하정집(落霞亭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1년연표보기 - 『낙하정 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 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
성격 고도서|문집
저자 양시면
간행자 양종해
권책 1책
행자 10행 21자
규격 24.6×17.7㎝[반곽]
어미 내향 삼엽 화문 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북도 순창 출신의 조선 후기 유학자 양시면의 문집.

[저자]

양시면(楊時冕)[1585~1626]의 자는 자정(子整), 호는 낙하정(落霞亭)이며, 순창군 적성면(赤城面)구남(龜南)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병조 정랑을 지낸 양사형(楊士衡)이며, 어머니는 최영(崔嶺)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 증광시에 진사 3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다. 광해군 때 폐모론이 대두되자 낙향하여 생을 마쳤다. 1626년 6월 20일, 4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부인 김씨와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었다.

[편찬/간행 경위]

『낙하정집(落霞亭集)』은 오랫동안 필사본으로 전하던 원고를 후손들이 1851년(철종 2) 목활자본으로 간행한 유집이다. 아버지 양사형(楊士衡)과 백형 구음양시진(楊時晉)의 문집을 합본하여 단권(單券)으로 간행되었다. 또 구음의 아들인 화양양여매(楊汝梅)의 유집 1책과 묶어 삼세유집(三世遺集)으로 간행되었다. 권수(卷首)에 종자(從子) 양여매(楊汝梅)의 서문이 실려 있다.

[형태/서지]

『낙하정 유고』양사형『어은집(漁隱集)』양시진『구음집(龜陰集)』이 합본되어 1책으로 되어 있다. 판식은 사주 단변(四周單邊)[책장의 네 모서리 모두 한 줄로 되어 있는 테두리]으로 내향 삼엽 화문 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이다. 반곽(半郭)의 크기는 24.6×17.7㎝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1자이다. 전남 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내용은 시(詩)와 만사(輓詞)가 있다. 시 중에 「병풍 팔영(屛風八咏)」은 춘하추동 사계절의 풍경을 담은 병풍 그림에 대한 제시(題詩)에 해당한다. 광해군영창 대군을 강화도로 유폐한 뒤 처형하고, 인목 대비 마저 폐위하려고 성균관에 연명 상소를 올리라고 강요하니 대부분의 관생들이 짐을 싸서 낙향하였다. 당시 성균관생이던 양시면도 「장안곡(長安曲)」이라는 시를 짓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수청오근액지(一樹靑梧近液池)[대액지 근처에 푸른 오동나무 있는데]

군아난집봉무지(群鴉亂集鳳無枝)[갈가마귀 떼지어 모여드니 봉황의 자리 없네]

색사하처위장왕(色斯何處爲長往)[놀란 봉황은 어느 곳으로 떠나갔을까]

해외도원세불지(海外桃源世不知)[바다 밖 무릉도원을 세상은 알지 못한다네]”

또 「강남곡(江南曲)」은 당시의 혼란한 정국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시에서 자신과 같이 낙향한 선비를 원앙, 집권당인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를 매, 뜻있는 원로대신을 고니에 비유하였다. 양시면의 묘지명은 도암(陶庵) 이재(李縡)가 현손 양응수(楊應秀)의 청을 받고 지었다.

양시면광해군 때 폐모론이 대두되자 순창에 내려와 적성강변에 낙하정(落霞亭)이라는 누정을 짓고 여생을 보냈다. 이때 고향의 아름다운 사계절 풍광을 그려 만든 병풍그림에 읊은 제영시(題詠詩)가 「병풍팔영」이다. 그중 가을 그림을 보고 읊은 시는 다음과 같다.

금궐미형무(金闕迷炯霧)[궁궐은 희미하게 안개 속에서 빛나고]

주루은참암(朱樓隱巉巖)[붉은 누각은 가파른 낭떠러지를 가리우네]

하처사순객(何處思蓴客)[어느 곳을 생각하는가, 고향의 나그네여]

추풍호괘범(秋風好卦帆)[가을 바람은 돛 걸기에 좋구려]

탄금좌소정(彈琴坐小艇)[작은 배에 앉아 거문고 타고]

탁족농청파(濯足弄淸波)[맑은 물결 희롱하며 발을 씻네]

노화명월야(蘆花明月夜)[달빛에 갈대꽃은 밝게 빛나는데]

독작의여하(獨酌意如何)[홀로 술잔을 기울이려니 마음이 어떠한지]

[의의와 평가]

『낙하정 유고』 가운데 「장안곡」은 권필(權鞸)유희분(柳希奮) 등 외척이 발호하는 당시 세태를 풍자하여 쓴 궁류시(宮柳詩)에 필적할 말한 작품이다. 「강남곡」 역시 다양한 새의 속성을 제재로 하여 권신의 횡포와 어지러운 정치 현실을 비판하고 있어 작품성이 뛰어나다고 평가할 만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