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901213 |
---|---|
한자 | -丸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만순 |
생산지 | 누에환 생산지 -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
---|---|
성격 | 특산물 |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재배되는 청일뽕을 먹고 자란 누에를 냉동, 열풍 건조시켜 만든 약용 식물 효소.
누에는 기르기 어렵고 질병에 잘 걸리며, 성장 과정에서 결벽하기로 유명하다. 일찍이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 양잠 편에서는 “누에는 통곡하는 소리, 부르짖거나 성내는 소리, 욕지거리, 음담패설을 싫어하고 그밖에도 불결한 사람이 곁에 오는 것을 싫어하며 부엌에서 칼 쓰는 소리를 싫어하며 대문이나 창문 두드리는 소리 또한 싫어한다. 연기도 싫어하고 생선이나 고기 굽는 냄새도 싫어하며 비린내, 누린내에 사향 냄새까지도 싫어한다.”고 하였다.
누에를 치기 위해서는 누에를 치는 도구, 방 등을 깨끗이 하고 절대 뽕밭에 농약을 쳐서는 안 된다. 농약이 묻은 뽕잎을 먹으면 바로 토하면서 몸이 오그라들어 죽게 된다. 누에의 청결성 때문에 잔류 농약의 위험은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창군에서도 1970년대에는 많은 농가에서 부업으로 누에를 키워 왔으나 지금은 거의 사리지고 없다.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괴정리 마계 마을에 사는 장소녀[66세]는 26세에 결혼해서 지금까지 뽕나무를 재배해 누에를 키워 왔다. 결혼할 때부터 시댁에서 뽕나무 밭을 재배하였고, 누에를 키워 누에고치로 양잠 조합에 판매해서 많은 소득을 올렸다.
그 당시만 해도 마을 전체 농가가 거의 양잠업을 하여 많은 농가 소득을 창출하였으나 누에고치를 수확하는 시기가 모내기철이라 일손이 부족하고 누에고치 수요도 줄어들면서 재배 농가도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장소녀와 사촌 이근호, 이근산 세 가구만이 지금까지 누에 농사를 해 왔다. 섬유 산업의 발달로 양잠업이 쇠퇴하자 이에 약용으로 쓰이는 동충하초를 재배하여 판매해 왔는데 그것도 수요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그래서 5년 전부터는 누에환을 만들어 판매해 오고 있다. 장소녀는 뽕나무와 함께 해 온 세월이 벌써 40년이라 하였다.
순창군 누에는 재래종 뽕나무 청일뽕[가세뽕]잎을 먹이로 하여 키운다. 봄에는 5월경에, 가을누에는 7~8월경에 누에치기를 시작한다. 누에가 넉잠을 자고난 뒤 3~4일 후에 누에 집을 지을 시기에 냉동 건조하거나 열풍 건조시킨다. 열풍 건조시킨 누에는 검정 약콩과 함께 세분하여 환으로 만든 다음 1㎏씩 진공 포장하여 판매한다.
누에 가루의 핵심 물질은 펩타이드로서 머리카락, 뼈, 근육, 혈액 등 우리 몸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체내 단백질을 만드는 아미노산으로 신체의 세포 조직을 활성화하고, 세포의 정상적인 성장과 분열을 돕는 효능이 있다. 누에 가루의 실크 펩타이드는 식품 첨가물로서 활용되던 초기 단계를 넘어 기능성 식품, 당뇨병 등 기타 성인병 치료제 및 항암제,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최근에는 실크 펩타이드를 이용한 인공 뼈 개발 작업도 추진 중이다. 또한 글리신 성분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이나 뇌졸중 예방 및 알코올 대사 촉진 효과, 항치매, 항산화 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2013년 현재 순창군에서 누에를 치는 농가는 동계면, 구림면, 풍산면, 적성면의 16농가로서 누에 주문량은 알에서 깨어난 의잠 300상자이다.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 운남리에 사는 김형근 전 양잠 조합장이 누에의 주문 배달을 하고 있다. 누에환은 알음알음으로 개인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