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돌다리와 당산나무의 신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823
한자 -堂山-神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금월리
집필자 박정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12월 - 「돌다리와 당산나무의 신비」 『순창의 구전 설화』상에 수록
성격 신이담
주요 등장 인물 도승
모티프 유형 도승의 신력|당산나무의 신비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금월리 칠립 마을에서 신비한 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돌다리와 당산나무의 신비」대각산 자락에 자리한 금월리 칠립 마을 하천이 범람하면 길을 건널 수가 없는데 어느 날 도승이 경문을 외우니 거대한 돌다리가 순식간에 생겼으며, 당산나무를 베어서 마을에 화마가 덮쳤으나 불이 붙지 않은 암느티나무의 신적 능력으로 마을이 무사할 수 있었다는 신이담(神異談)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12월 양상화가 엮어 순창 문화원에서 간행한 『순창의 구전 설화』상의 263~264쪽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대각산순창군 복흥면 금월리 칠립 마을에 있는 산이다. 옛날에 이 산 중턱에 큰 절이 있었다고 한다. 이 절은 9,900㎡[3,000평]이 넘는 절터를 가질 정도로 큰 절이었다. 또한 이 절이 번창할 때는 절 밑의 마을도 상당히 번창하여 300여 호가 넘는 큰 마을을 이루었다.

이 마을 입구에는 하천이 있었는데, 비가 많이 올 때에는 그 하천을 건너기 위해서 신을 벗고 다녀야 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비가 올 때마다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어느 날 비가 많이 와서 사람들이 하천을 건너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 마을 뒤에 있는 절을 찾아오던 도승이 이곳에 도착하였다. 도승은 마을 사람들이 하천을 건너지 못하는 것을 보고는 알 수 없는 경문을 읊었다. 그러자 눈 깜짝할 사이에 하천에 커다란 돌다리가 놓였다. 마을 사람들은 그 도승에게 큰절을 올리며 감사함을 표하고 그 돌다리를 건너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 뒤로 이 마을 사람들은 아무리 비가 내려도 걱정 없이 개울을 건너 집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마을 서남쪽 능선에는 커다란 귀목나무가 보비용으로 많이 서 있었고, 마을 앞에는 수느티나무와 암느티나무가 서 있어 마을 사람들은 매년 보름날이면 이 나무에 당산제를 지냈다. 그런데 1928년 일본 사람들이 군사용으로 쓸 선박을 제작한다는 명목으로 이 당산나무를 베어 갔다. 그런데 그해 2월 1일 마을 뒤편의 바위에서 새빨간 불덩어리가 동서남북으로 날아다니면서 이집 저집을 불태웠다. 순식간에 마을은 불바다로 변해 버렸다. 이때 암느티나무가 있는 쪽으로는 불이 건너오지 않고 수느티나무에 불이 붙어 며칠 동안 불타올랐다. 끝내 암느티나무에는 불이 옮겨 붙지 않았고, 그 덕분에 이쪽 마을은 전혀 불길의 피해를 보지 않았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돌다리와 당산나무의 신비」의 주요 모티프는 ‘도승의 신력(神力)’, ‘당산나무의 신비’ 등이다. 신력을 통하여 도승의 범상치 않음을 드러내고, 이런 도승이 찾아올 정도로 마을 뒤편에 있던 절이 번창한 사찰이었음을 암시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당산나무를 베어내자 마을에 화마가 덮쳤지만 불타지 않은 당산나무로 인하여 마을이 무사할 수 있었다는 것을 통하여 당산나무의 신비함뿐만 아니라 신성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