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701 |
---|---|
한자 | 茂松尹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문광균 |
입향 시기/일시 | 1599년 - 무송 윤씨 입향 |
---|---|
본관 | 무송 - 전라북도 고창군 |
입향지 | 무송 윤씨 입향지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
묘소|세장지 | 문헌사(文獻祠)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
성씨 시조 | 윤양비(尹良庇) |
입향 시조 | 윤순(尹洵) |
[정의]
윤양비를 시조로 하고 윤순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보령의 이거 성씨.
[연원]
무송 윤씨(茂松 尹氏)는 무송(茂松)[현재 전라북도 고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본관의 시조는 고려 예종 대 보승낭장(保勝郎將)을 지낸 윤양비(尹良庇)이다. 이후 무송 윤씨는 고려 시대에도 뛰어난 학자와 훌륭한 신하들을 배출하였다.
윤양비의 증손자인 윤택(尹澤)[1289~1307]은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윤소종(尹紹宗)[1345~1393]은 뛰어난 유학자로서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역임하였다. 조선 건국 후 윤소종의 아들인 윤회(尹淮)[1380~1436]는 예문관 대제학을 지냈으며, 세조 대 이시애(李施愛)[?~1467]의 난을 진압하고 난 뒤 영의정을 역임한 윤자운(尹子雲)[1416~1478]도 무송 윤씨 집안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후 14세손인 윤순(尹洵)이 충청남도 보령 지역으로 입향하였다.
[입향 경위]
1599년(선조 33) 14세손인 윤순이 남포현으로 입향하면서 지역에서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정확한 입향 사유를 알 수는 없지만, 입향 시기가 임진왜란 직후인 점을 고려하면 전란으로 인하여 살던 한양을 떠나서 피난 중 남포현으로 입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2015년 통계청 성씨·본관별 인구조사에 따르면 충청남도 보령시에 거주하는 무송 윤씨는 126명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무송 윤씨의 사당인 문헌사(文獻祠)가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에 자리하고 있다. 문헌사 앞에는 업적을 기리는 사적비도 있다. 본래 1494년(성종 25)에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홍죽리에 부조묘(不祧廟)[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둔 사당]로 건립되었으나, 양주에 사는 윤자운 후손들이 점차 지역에서 쇠퇴하면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725년(영조 1)에 웅천읍 소황리 지역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위패를 모셔다가 재건립하였지만, 사당 위치에 군사시설이 들어오면서 1992년에 현재 자리로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