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6039 |
---|---|
한자 | 白華遺墨-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원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0년 10월 14일 - 백화유묵 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27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백화유묵 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1월 24일 - 백화유묵Ⅱ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
현 소장처 |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
출토|발견지 |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
성격 | 필사본 |
작가 | 傳 이광사 |
소유자 | 한마 학원 |
관리자 | 경남 대학교 박물관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유묵첩.
[개설]
백화유묵(白華遺墨)Ⅱ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1996년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하고 있는데 백화유묵Ⅱ도 그 중 1종이다. 경남 대학교 박물관 데라우치 문고에는 ‘백화유묵’이라는 이름의 첩이 두 첩이 있다. 편의상 각권을 백화유묵Ⅰ·Ⅱ라 칭한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백화유묵Ⅱ의 크기는 30㎝×20㎝이고 분량은 24쪽이다. 백화유묵은 백화자(白華子) 홍신유(洪愼猷)[1722~?]의 만사(輓詞)와 시(詩) 등을 모은 서첩으로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백화유묵Ⅱ에는 평옹(萍翁) 김사징(金士澄)이라는 사람의 죽음을 애도해 쓴 만사(輓詞)와 윤석철(尹錫喆), 최두붕(崔斗朋), 김운거(金雲擧)의 시(詩)를 차운한 차운시(次韻詩) 등 모두 8편의 글이 실려 있다. 각 작품들 말미에는 홍신유의 작품임을 알려주는 ‘홍신유장(洪愼猷章)’, ‘백화자인남양홍휘지(白華子印南陽洪徽芝)’ 등의 도서인(圖書印)이 찍혀있다. 백화유묵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시는 「청어시(靑魚詩)」이다. ‘청어시’는 말 그대로 ‘청어’라는 물고기를 소재로 한 장편의 서사시로, 청어를 통해 당시의 서민들의 삶과 사회적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청어시」처럼 시의 소재가 서민들의 삶과 밀접한 생활 속에서 찾는 경향은 조선 후기 사회 문학의 한 흐름이라 할 수 있는데 시의 소재를 현실 속에서 찾아 장편 서사로 옮긴 대표적인 조선 후기 시인 중의 한 사람이 홍신유이다.
홍신유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휘지(徽之), 호는 백화자(白華子)이며, 기술직 중인 집안 출신이다. 홍신유의 조상은 분명하지 않으나 5대조 인남(仁男)이 주과 중인으로 진출한 이후 조선 후기 유력한 주과 중인의 집안이 되었으며 증조부 행원(行源)은 역과(譯科)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정작 홍신유 자신은 1768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문과 출신이다. 그러나 홍신유가 문과에 급제했다고 중인이란 신분에 변동이 있는 것은 아니었으므로 통례원(通禮院)의 하위직을 비롯해 성균관 전적(典籍), 찰방(察訪) 등 하잘 것 없는 벼슬을 전전해야만 했다. 때문에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러한 불만이 현실을 투영할 수 있는 시각을 키웠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홍신유가 지은 시를 모은 『백화자집초(白華子集抄)』 두 책이 있는데, 모두 354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청어시」를 비롯해 평양 기생을 노래한 「추월가(秋月歌)」 등 우리 실생활과 관련된 인물이나 대상 등을 소재로 한 시들을 즐겨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