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023
한자 地質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승호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지각을 이루는 여러 암석이나 지층의 성질.

[개설]

우리나라는 국토의 절반 이상이 화강암과 화강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여러 시기의 지각 변동과 제3기 초부터 일어난 한반도의 융기 및 삭박 작용에 의해 지표에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한강 하류의 지질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연천계(漣川係)의 편암류(片岩類)와 준편마암류(准片麻岩類)를 비롯하여 중생대 말기의 불국사통(佛國寺統)에 속하는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층은 한강을 중심으로 이남 지역과 이북 지역으로 양분되는데, 한강 이북은 편암류와 준편마암류가 지배적이다.

[도봉구의 지질 현황]

도봉구는 한반도의 지체 구조상 경기 육괴(京畿陸塊)에 해당하며, 추가령 구조곡이 지나는 곳이다. 경기 육괴는 경기도와 서울을 중심으로 충청도 북부 지방과 강원도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도봉구 일대의 암석은 화강암이 지배적이지만, 일부 변성암도 분포한다. 가장 오래된 변성암인 경기 변성암 복합체의 암석은 퇴적암이 여러 차례에 걸쳐 변성 작용과 화강암화 작용을 거친 결과물이다. 변성암 복합체의 주요 구성 암석은 편암, 결정질 석회암, 규암, 호상 편마암 등이며, 암상(岩相)의 변화가 심해서 지층의 추적과 세분이 어렵다.

도봉산은 지질학적으로 고생대부터 화강암의 지반이 융기한 후 침식 작용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2억 년 전 한반도의 지각 변동 사상 가장 격렬했던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 조산 운동(大寶造山運動)에 의해 형성된 대보 화강암이 지배적인 암석이다. 서울 한강 이북인 서부와 동부 산악 구간은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대부분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강암은 조립질이고 일정 모양으로 떨어져 나가는 절리 현상이 잘 나타나며 풍화되면 바위가 벗겨지고 부스러지는 박리 현상이 잘 나타난다. 따라서 도봉산에 기암괴석이 많이 분포하게 되었다.

화강암은 풍화 작용에 약하고 백색을 띠며 잘 부스러져서 배수 상태가 양호하기 때문에 사질토를 이룬다. 도봉 주능선에 평행한 능선 서쪽 낮은 곳은 변성암과 접해 있고, 시가지가 있는 도봉산의 동쪽 저지대에는 능선에 평행한 단층들이 발달해 있다. 이로 인해 단층 작용 또한 도봉산 일대의 지형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