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곰뱅이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257
영어음역 Gombaengi Taryeong
영어의미역 Folk Song of Gombaengi
이칭/별칭 「구려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집필자 이걸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일상요
토리 경조
기능구분 부녀자들이 아이들에게 불러주는 노래
형식구분 자유형식
박자구조 2박, 3박 장단 혼용
가창자/시연자 유조숙|이걸재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 전해지는 부녀자들이 아이들에게 불러주던 민요.

[개설]

전통사회에서는 어린아이가 말을 빠르고 재미있고 배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래를 불러주었는데, 서정적인 노랫말보다 말이 지니는 유희적 특성을 지닌 말장난 형식의 노랫말이 많다. 연희소리인 이 노래는 느리고 흥겹게 부른다. 유사한 노래로는 ‘방꾸 군다 뽕나무/ 십리절반 오리 나무’ 하는 「나무 타령」이 있다.

전통사회에서는 아낙네들이 연희 삼아 노래를 부르는 기회가 많지 않아 내방가요 형식을 띄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노래는 노랫말 자체가 재미있어 흥겹게 부른다. 더러는 단조로 서럽게 부르기도 하였으며 연희소리에서는 아니리 부분이 사설화된 변형을 보이기도 한다.

[채록/수집상황]

「곰뱅이타령」은 1983년 12월 8일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서 박계홍, 황인덕에 의해 채록되었다. 노래는 유조숙(여, 1908년생, 사망)이 불렀다.

[구성 및 형식]

「곰뱅이타령」은 충청남도 공주시 일원에서 흔히 ‘어떤 행동을 하시구려’하는 문장에서 ‘구려’를 떼어 「구려 타령」이라는 이름으로 일컬어 왔다. 이 노래는 아이들에게 불러 줄 때는 「구려 타령」으로, 가락을 느리고 흥겹게 바꾸어 부를 때는 「곰뱅이타령」으로 일컬어져 왔다.

「구려 타령」은 2박자로 단조롭고 빠르게 계속 부르다가 힘겨우면 판소리의 아니리처럼 말로 ‘하시구려’하고 잠깐 쉰 뒤 반복하는데 아니리로 하는 말들은 ‘나가슈’, ‘둘러치구’, ‘못하것네’ 등 다양하다. ‘둘러치구’는 노랫말의 내용을 바꿀 때 주로 사용하며, ‘못하것네’는 노래를 계속 듣고 싶어 하는 아이들에게 이제는 못하겠다고 놀릴 때 사용한다.

「구려 타령」은 2박자로 빠르게 부르다가 숨이 차면 아니리로 〈하시구려〉를 반복한다. 「곰뱅이 타령」은 느린 3채(세마치)에서 잦은 3채로, 후반부는 빠른 2채로 변화를 주며 부른다. 「구려 타령」「곰뱅이타령」 모두 자유로운 형식을 취한다.

[내용]

뒷동 뒷동 뒷동산이(올러가서)/ (중략) 시금새슴 시아버님/ 어서 속히 일어나서/ 양념물에 시수 단장(하시구려)/ 아침조반 잡수시구/ (후략)

[현황]

1990년대 이후 노래 전체를 부를 수 있는 사람은 없으며 부분적으로 부르는 사람만 남아 있다. 이걸재가 전체를 재현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교육시설이 미흡하고 양반의 자제가 아니면 서당에 갈수 없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들의 교육을 흥미로운 놀이나 노래로 대신했던 서민들의 교육 방식을 엿볼 수 있는 노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