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일회담 반대시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27
한자 韓日會談反對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65년 2월연표보기 - 한일회담 반대시위 발생
종결 시기/일시 1965년 8월연표보기 - 한일회담 반대시위 종결
발단 시기/일시 1965년 2월 - 한일기본조약 가조인
발단 시기/일시 1965년 3월 31일 - 전남대학교 총학생회 매국외교 결사규탄 성토대회 개최
발단 시기/일시 1965년 4월 - 전남대학교 제적생 복교를 위한 서명운동 진행
발단 시기/일시 1965년 8월 23일 - 전남대학교 한일협정 국회비준 성토대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4년 6월 3~5일 - 6.3항쟁

[정의]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가조인되면서 6.3항쟁에 이어 일어난 반대 시위.

[개설]

한일회담 반대시위는 박정희 정부의 한일기본조약[한일협정] 체결에 반대한 시위로, 전라남도 광주시에서는 1964년 6.3항쟁에 이어 1965년 3월 31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의 시위로부터 시작되었다. 같은 해 8월까지 시위가 계속되었으나 박정희 정부의 위수령 발동으로 일단락되었다.

[역사적 배경]

박정희 정부의 한일회담 추진은 국내외적인 요인들로 인해 이루어졌다. 우선 국내적으로는 5.16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정부는 경제 발전을 통해 정통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급속한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 자본의 확보가 시급하였는데, 박정희 정부는 그 방안으로 한일 간의 국교 정상화를 통한 '경제 협력'과 '외자 확보'를 내세웠다. 한편, 국제적으로 한일회담 추진은 한·미·일 집단 안보 체제의 구축이라는 미국의 동북아 군사 전략과 연관되어 있었다. 하지만 박정희 정부의 한일회담 강행은 국민적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1964년 박정희 정부가 '3월 타결, 5월 조인'을 내세우기에 이르자, '대일 굴욕 외교'에 대한 반대시위는 3월 초 야당과 재야 세력들 중심의 '대일 저자세 굴욕외교 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결성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경과]

1964년 3월 26일 700여 명의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대일굴욕외교 반대한다", "사수하자, 평화선" 등의 플래카드를 들고 계림파출소 옆 버스정류장에서부터 가두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날 시위는 시내 주요 도로를 거쳐, 학생들의 뜻을 충분히 정부에 전달하겠다는 김효영 전라남도부지사의 다짐을 받고 마무리되었다. 4월 10일 전남대학교에서는 과학적인 입장을 견지하기 위해 국회의원 강문봉·백남억, 언론인 박동운, 『사상계』의 장준하 등을 초청한 '한일문제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국민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일회담이 강행되자, 5월 27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박정권 하야"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에 들어갔다. 1964년의 한일회담 반대시위는 6월 3~5일 정점에 이르렀으나, 박정희 정부의 계엄령 발포로 일단락되었다.

1964년 12월 제7차 한일회담이 개최되고, 1965년 2월 가조인이 이루어지자 같은 해 3월 31일 전남대학교 총학생회는 '매국외교 결사규탄 성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매국외교 결사반대", "김·오히라 비밀흥정 이완용을 웃긴다"는 등의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시위에 들어갔다. 이날 시위로 총 32명이 연행되었으며 김재홍, 김영우, 전성훼, 안일근, 송종호, 정동년, 서병수 등이 제적 처분당했다.

1965년 4월 초 전남대학교에서는 제적생 복교를 위한 서명운동이 이루어졌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안일근, 송종호, 김영우, 정동년에게 입영영장을 발부하였다. 이는 결국 정동년이 구속 기소되고, 나머지 3명이 입대하였으며, 정동년 외 6인에게만 무기정학 처분이 내려지면서 일단락되었다.

1965년 8월 한일기본조약[한일협정]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발효되자 이를 규탄하는 성토대회가 전남대학교에서도 열렸다. 8월 23일 200여 명의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대학본부 앞에서 국회의 한일협정 비준 무효, 국회 즉시 해산 등을 내용으로 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한일협정 국회비준 성토대회'를 개최하였다.

[결과]

1965년 8월 26일 서울특별시 일원에 '위수령'이 발동되었고 주요 대학에 군인이 상주하게 되어 한일회담 반대시위도 막을 내렸다.

[의의와 평가]

한일회담 반대시위는 광주·전라남도 지역의 학생운동이 민족·민주운동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