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돈와 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838
한자 遯窩遺稿
이칭/별칭 둔와 유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5년연표보기 - 『돈와 유고』 간행
성격 고도서|문집
저자 양종해
간행자 양선섭
권책 4권 2책
행자 12행 30자
규격 22.0×15.5㎝[반곽]
어미 상하향 이엽 화문 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북도 순창 출신의 조선 후기 유학자 양종해의 문집.

[저자]

양종해(楊宗楷)[1744~1815]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자는 원칙(元則), 호는 돈와(遯窩)이며,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아버지 양언(楊堰)과 어머니 흥성 장씨(興城張氏) 사이에서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구남에서 태어났다. 백수(白水) 양응수(楊應秀), 대재(大齋) 유언집(兪彦鏶)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74년(영조 50) 식년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공부하다가 벼슬의 뜻을 접고 낙향하였다. 이후 전라북도 남원의 화산(華山) 아래에 돈와 정사(遯窩精舍)를 짓고 성리학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순창군 적성면 지북리지계 서원(芝溪書院)을 세워 구암(龜巖) 양배(楊培)만회(晩悔) 이유겸(李有謙)[1586~1663], 쌍매(雙梅) 양사민(楊士敏)[1531~1589]을 향사하며 유교 교육을 진흥하였다. 순창군 적성면 도암동에 묘소가 있으며, 죽은 뒤 1841년(헌종 7) 효행과 학식으로 인해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었다. 1774년(영조 50)에 사마시 진사에 합격하고 받은 백패(白牌)가 전해진다.

[편찬/간행 경위]

『돈와 유고(遯窩遺稿)』는 6세손 양선섭(楊宣燮)을 비롯한 후손들이 유고를 모아 1965년에 간행하였다. 권수(卷首)에 1964년 김규태(金奎泰)와 족후손 양병회(楊秉晦)가 지은 서문이 붙어 있고, 권말에는 1965년 6세손 양선섭과 후손 양판수(判洙)가 각각 쓴 발문이 붙어 있다.

[형태/서지]

석인본(石印本)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책장의 네 모서리 모두 두 줄로 되어 있는 테두리]으로 상하향 이엽 화문 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반곽(半郭)의 크기는 21.9×15.6㎝이다. 1면 12행에 1행의 자수는 30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에 시(詩)가 실려 있고, 권2~3에는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글인 서(書) 47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서(序), 기(記), 발(跋), 제문(祭文), 묘갈명(墓碣銘), 묘표(墓表), 장(狀), 녹(錄), 부록(附錄)으로 되어 있다. 부록에는 공의 행장이 실려 있다.

순창 적성면 구남리 천태산(天台山)에 있는 천태암을 읊은 시는 다음과 같다. 천태암은 양종해의 7대조인 어은(漁隱)양사형(楊士衡)이 지은 독서당으로, 후손들이 강학하는 곳으로 쓰였다. 우측으로 섬진강이 흐르고 앞쪽으로 오수천이 흘러 합해진다. 멋진 풍광 속에서 심성을 수양하고 성현의 학문을 익히는 곳으로 쓰였다.

심경삼사몽난성(深更三四夢難成)[한밤중에 잠 못 이루는데]

첨폭암종야우명(簷瀑岩淙夜雨鳴)[처마와 바위에서 떨어지는 밤비 소리 울리네]

급협뇌정훤침하(急峽雷霆喧枕下)[깊은 골짜기에 번개 울려 베개 밑이 시끄러우니]

소암부재대강성(小庵浮在大江聲)[작은 암자가 큰 강물에 떠있는 소리 같네]

우향편문고사파(雨響偏聞古寺芭)[옛 절의 파초 잎에 들리는 빗소리]

호구직사체령파(互溝直瀉逮瓴波)[기와골로 쏟아지는 거친 물줄기]

와영두노천간하(臥營杜老千間厦)[문 닫아걸고 누운 늙은이에게 천간의 집이요]

누옥강남토허다(漏屋江南土許多)[비 새는 낡은 집에는 강남의 선비도 많겠지]

다음은 순창 출신 학자 유광천(柳匡天)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 「유승지광천만(柳承旨匡天輓)」이다. 유광천은 1799년(정조 23) 『호남 절의록』을 편찬한 인물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 정묘·병자호란 때 나라를 위해 창의했던 호남지역 절사(節士)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운로고명사십춘(雲路高名四十春)[벼슬길에 이름 높던 40세에]

덕용문채출금신(德容文彩出襟神)[용모와 문채가 널리 알려졌네]

납언후원왕유환(納言喉院王猷煥)[승정원에서 올리는 글은 임금을 빛나게 하였고]

제금제주정적인(製錦諸州政績仁)[여러 고을에서 선정을 베풀어 인을 쌓았네]

향택호점귀락지(鄕宅好占歸樂地)[고향에서 돌아와 즐길 터를 잡았고]

국가선진노성인(國家先蓁老成人)[나라에서는 노성인을 먼저 알았네]

화문경복공무감(華門慶福公無憾)[빛나는 가문에는 경사와 복이 있으니 공은 섭섭함 없고]

정식쌍련후엽진(庭植雙蓮後葉蓁)[뜰에 심은 한 쌍의 연꽃은 뒤에 잎이 무성하리라]

양종해는 또한 「인물성 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서는 모든 사물이 만들어질 때부터 제각기 본연성(本然性)을 타고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심성(心性)과 이기(理氣)에 대한 개념을 시를 통하여 간단명료하게 풀이하여 후학들의 이해를 도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