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92
이칭/별칭 써리,써그리,써레,쓰래,초파,서으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전라북도 순창군
성격 농업 용구
재질 나무
용도 작업용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모를 심기 위해 쟁기로 갈아 놓은 논바닥을 반반하게 고르거나 흙덩이를 깨부수는 데 쓰는 농기구.

[개설]

써레는 지역에 따라 써리, 써그리, 써레, 쓰래, 초파, 성으리라고도 한다. 써레의 몸체는 보통 소나무로 만들고, 써레 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같이 단단한 나무를 깎아 쓰지만, 한두 해가 지나면 갈아 줘야 한다. 무논에서 썼던 논 써레와 밭이나 물을 넣지 않은 논에서 썼던 밭 써레가 있다.

[연원 및 변천]

씨앗이 뿌리를 잘 내리게 하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데 써레가 이용된다. 논에서는 쟁기로 간 논을 모내기 전에 물을 대고 써레로 바닥을 평평하게 고르는데, 이를 써래질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 모양 차이도 있고 쓰이는 용도도 조금씩 다르다. 1970년대 후반 농촌 지역에 경운기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로터리발을 부착하여 써레가 하는 일을 대신하게 되었는데, 지금은 트랙터가 그 역할을 하면서 하루에 1만㎡도 거뜬히 작업할 수 있게 되었다.

[형태]

순창 지역에서 사용하는 써레는 손잡이, 찍게발, 몸둥이, 써렛발, 나루채로 구성되어 있다. 물이 있는 상태의 논을 무논이라고 하는데, 무논에서 사용한 써레는 길이가 1~1.5m 되는 통나무에 20~30㎝ 되는 끝이 뾰족한 써렛발 6~10개를 땅으로 향하게 빗살처럼 박았다. 위쪽에는 가로로 손잡이를 대고 써레의 양쪽에는 소에 고정시키는 채를 박았다. 무논에서 쓰는 써레 중에는 틀 가운데에 흙을 부수는 송곳 같은 발이 달린 굴대가 있는 회전 써레도 있다. 오늘날의 경운기 원리와 같다. 마른 땅에 썼던 써레는 몸통을 2~4개 정도 잇대거나 여러 겹의 나무틀에 나무 또는 쇠로 된 발을 박아 흙덩이를 잘게 부술 수 있는 평상 써레를 썼다. 손잡이가 없는 평상 써레는 사람이 올라타서 작업을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써레는 보통 소가 끄는데, 길들여진 소를 이용하였다. 하루에 소가 써레질 하는 양이 10마지기 정도 되었다고 하니 요즘 트랙터로 로터리하는 것의 반절 정도 되는 성능이다. 소를 멈출 때는 ‘워~워~’ 하면 되고, ‘이랴!’ 하면 가고, ‘자라~자라~’ 하면 왼쪽으로 돌아가고, ‘이~리’ 하면서 끈을 오른쪽으로 잡아당기면 오른쪽으로 갔다고 한다. 사람과 소의 호흡이 중요한 대목이다. 개항기 풍속 화가인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의 그림에 「논에 설애질 하고」가 있다.

[참고문헌]
  • 박호석 외, 『한국의 농기구』(어문각, 2001)
  • 박호석, 『한국의 재래 농기구』(한국 학술 정보, 2004)
  • 디지털 김제 문화 대전(http://gimje.grandculture.net)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http://encykorea.aks.ac.kr)
  • 인터뷰(대산리 신기식, 남, 75세, 201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