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인오이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616
한자 龍仁-
영어음역 Yongin Oiji
영어의미역 Yongin Cucumbers Pickled in Salt
이칭/별칭 용인외지,용인과저,용인담고저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현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음식
재료 오이
계절 여름

[정의]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담궈 먹는 오이지.

[개설]

조선에 쓰여진 고조리서(古調理書)에도 용인오이지에 대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고 유명한 경기도 지방의 향토음식이다. 특히 7~8월이 제철인 오이를 이용하고 쌀뜨물과 찬물을 함께 넣어 만든 소금물에 오이지를 담그는 것이 특징이다.

[연원 및 변천]

1766년(영조 42) 발간된 가정백과전서인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용인담과저법(龍仁淡瓜菹法)에 대해 기록하고 있으며, 1815년(순조 15) 빙허각 이씨의 『규합총서(閨閤叢書)』에도 용인오이지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1800년대 말 은진송씨 가(家)의 요리책으로 보이는 『주식시의(酒食是儀)』에도 용인오이지가 유명하다고 기록하고 있다. 1925년 최영년의 『해동죽지(海東竹枝)』에도 ‘용인고저(龍仁苽菹)’ 가 나오고 있다. 용인오이지가 유명하였던 이유로, 농산물 집산지인 용인에 오이가 집산되었거나 용인에서 오이를 토산식품의 하나로서 생산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부인필지(婦人必知)』에는 “황과(黃瓜)를 꼭지 없이 깨끗이 하여 항아리에 넣고, 맑은 뜨물과 냉수를 합하여 소금을 타서 항아리에 부어 두고 이튿날 물을 따라 한소끔 끓여서 차게 식혀 붓는다. 그렇게 하기를 예닐곱 번 되풀이 하면 맛이 썩 좋다.”고 용인외지법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어, 용인오이지의 역사가 꽤 오래되었으며, 그 조리법이 오래전부터 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용인오이지는 원래 늙은 오이를 써서 담그는 것으로 여겨진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늙은 오이[老黃苽]를 써서 오이지를 담고 있으며,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도편)에도 늙은 오이를 사용하고 있다.

[만드는 법]

오이를 꼭지 없이 하고, 상한 것은 가려내고 오이를 소금으로 박박 문질러 깨끗이 씻은 뒤 항아리에 담는다. 쌀을 씻어 첫 물은 버리고 중간 뜨물을 잠깐 두었다가 맑은 뜨물을 준비한다. 맑은 뜨물과 찬물을 섞은 것에 소금을 풀어 소금물을 만든다.

오이를 담은 항아리에 위의 소금물을 부었다가 하루가 지나면 한소끔 끓여서 차게 식혀서 다시 붓는데 아래위 바꾸어 넣기를 하며 절여 익힌다. 이 과정을 6~7회 되풀이한다. 오이가 맛이 들면 꺼내어 국물과 같이 먹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오이는 칼륨이 풍부하여 체내의 노폐물을 배설시켜 몸을 가볍게 하고 이뇨작용을 통해 부종과 갈증 해소에 도움을 주어서, 땀이 많이 나는 여름에 좋은 제철 음식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