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941
한자 楊應秀
이칭/별칭 계달(季達),백수(白水)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00년연표보기 - 양응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55년 - 양응수 건원릉 참봉에 제수
몰년 시기/일시 1767년연표보기 - 양응수 사망
출생지 양응수 출생지 -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서림
묘소|단소 양응수 묘소 - 전라북도 순창군 풍산면 옥출산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지계 서원 -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지북리 지도보기
성격 유학자
성별
본관 남원(南原)

[정의]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유학자.

[가계]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계달(季達), 호는 백수(白水). 아버지는 승의랑(承議郞) 양처기(楊處基)이며, 어머니는 강화 최씨(江華崔氏)로 최휴지(崔休之)의 딸이다

[활동 사항]

양응수(楊應秀)[1700~1767]는 1700년(숙종 26) 순창군 적성면 서림에서 태어났다. 7세에 글을 익히기 시작하여 젊어서는 권필(權韠)의 문하에서 배웠고, 38세 때에는 한천에 있던 도암(陶菴) 이재(李縡)를 찾아가 사제 관계를 맺었다. 1755년(영조 31) 53세 때 특별히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에 제수되었지만 나가지 않았다. 만년에는 박성원(朴聖源), 김원행(金元行), 송명흠(宋明欽) 등 당시 석학들과 교유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1767년(영조 43)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양응수는 일찍이 벼슬에 뜻을 버리고 순창에서 오로지 경학(經學)과 성리학(性理學)에만 전념하여 『사서강설(四書講說)』을 남겼다. 스승 이재의 학설인 「이일기이설(理一氣二說)」을 바탕으로 한 「일기이기설(一氣二氣說)」을 주장하였다. 또한 천체의 운행과 해·달·별 등 우주관을 해설한 「혼천도설(渾天圖說)」을 지었다. 저서에는 『백수 문집(白水文集)』 30권 17책과,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백수의 서간을 가려 뽑은 『백수 서간선(白水書簡選)』이 있다.

[묘소]

전라북도 순창군 풍산면 옥출산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지북리지계 서원(芝溪書院)에 그의 선조인 양배(楊培)와 함께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