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91
이칭/별칭 멱서리,며꾸리,먹다리,부게,구멱어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전라북도 순창군
성격 생활 용구
재질
용도 저장용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곡물을 담아 놓거나 나르는 데 사용하던 짚으로 만든 그릇.

[개설]

멱사리는 짚으로 날을 촘촘하게 결어 볏섬 크기로 만든 그릇으로, 몇 번밖에 쓰지는 못하지만 농가에서는 요긴한 그릇이었다.

[연원 및 변천]

모양은 멱둥구미와 비슷하나 깊이가 더 깊다. 바닥 만드는 것은 뒤지 만드는 것과 똑같다. 곳에 따라 멱구리[경기도 안성시], 멱사리[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전라남도 영광군, 전라북도 순창군], 멱다리[전라남도 보성군]로 불렀으며 이외에도 멱대기, 멱드리, 부게, 주멱어리 등으로 불렸다. 1776년 간행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는 ‘멱’으로 소개되며, 멱둥구미와 구분이 안 된다고 쓰여 있다. 지금은 마대가 그 구실을 대신하고 있다.

[형태]

순창 지역에서는 멱사리를 만들 때 바닥은 짚으로 꼰 새끼를 가운데서부터 촘촘히 엮어 바깥쪽으로 만들어 나가다가 직각으로 세워 새끼를 엮어 나간다. 뒤지는 땅에다 놓고 엮는 반면 멱사리는 바닥만 땅에 놓고 엮고, 몸통을 만들 때는 벽에 걸어 놓고 엮는다. 걸어 두거나 운반하기에 편하도록 바닥에 고리를 단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보통은 쌀이나 나락을 담았고, 콩이나 팥도 담았지만 알곡이 작은 깨 종류는 담지 않았다. 곡물을 담아 운반할 때는 지게에 지고 다니기도 했는데, 보통 너 말쯤 들어가는 크기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