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900923 |
---|---|
한자 | 楊首生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정훈 |
고려 후기 순창 출신의 문관.
양수생(楊首生)과 순창의 관계는 양수생의 처 이씨에서 비롯된다. 이씨는 양수생이 죽은 뒤 가족들로부터 재가를 종용받자 남편의 고향인 남원으로 낙향하였다. 얼마 뒤 순창으로 이주하여 아들 양사보(楊思輔)를 키워 가문을 잇게 하였다. 양사보는 조선 태종 때 사마시에 합격하고 함평 현감을 지냈다. 1467년(세조 13) 나라에서는 이씨에게 정려를 내려 주었다. 이씨의 정려는 현재도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에 ‘고려 직제학 양수생 처 열부 이씨려’라는 이름으로 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172호로 남아 있다. 이후 남원 양씨는 이 지역에서 지금까지 600여 년을 세거해 오고 있다.
본관은 남원(南原). 증조할아버지는 양윤보(楊允保), 할아버지는 양서령(楊瑞齡), 아버지는 집현전(集賢殿) 대제학(大提學)과 지신사(知申事)를 지낸 양이시(楊以時)이다. 처는 열부로 정려된 이씨이며, 아들은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에 입향한 양사보이다.
1376년(우왕 2년)에 종사랑 장복직장(從事郞 掌服直長)으로서 문과 을과 제2위로 급제하였다. 당시 양수생이 받은 홍패는 보물 제725호로, 현재 ‘남원 양씨 종중 문서 일괄’에 포함되어 국립 전주 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크기는 가로가 34㎝며 세로가 65㎝로 조선 시대의 교지에 비하여 조금 작은 편이다. 양수생은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을 역임한 뒤 1377년(우왕 4) 요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