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홀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84
이칭/별칭 그네,훌치개,홀깨,훑이,도저,도급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전라북도 순창군
성격 농기구
재질 쇠|나무
용도 작업용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나락을 훑을 때나 볏짚 추리기를 할 때 썼던 도구.

[개설]

홀태는 벼나 보리를 훑어 내거나 볏짚을 골라서 쓸 때도 이용하였다. ‘그네’라고도 부르지만 보통은 홀태로 부른다.

[연원 및 변천]

홀태는 손으로 쓰던 손홀태가 능률적으로 발달한 기구이다. 손홀태는 손바닥만 한 나무판자를 빗처럼 깎고 빗살 사이로 벼이삭을 넣어 알곡을 훑어 내 하루 한 가마 일밖에는 하지 못하였다. 이 손홀태에서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켜 놓고 작업할 수 있는 홀태가 개발되었다. 18세기 서호수(徐浩修)가 쓴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도저(稻著)’로 썼으며, 1886년 간행된 『농정촬요(農政撮要)』에는 ‘도급(稻扱)’으로 나와 있다. 홀태의 단점은 빗살에 곡식 이삭이 끊어지거나 빗살 사이에 짚이 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금은 콤바인이 그 작업을 대신하고 있다.

[형태]

순창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던 홀태는 쇠나 나무 길이가 15~20㎝ 되는 빗살 30여 개를 너비 30~40㎝ 되게 박은 몸체에 밑에서 높이가 40~50㎝ 되게 다리를 박아 고정시킨다. 몸체에는 그네처럼 줄을 매고 그 가운데에 판자로 된 발판을 놓았다. 한쪽 발로 발판을 밟고 빗살에 곡식의 이삭을 훑어 내면 낱알이 떨어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홀태는 하루 한 가마 일밖에 못 하는 손홀태에 비해 5가마나 훑어 ‘오인급(五人扱)’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다섯 사람 몫을 해 낸다는 뜻이다. 작업은 벼를 한 손아귀씩 집어 주는 사람과 이를 받아 훑는 사람, 또 짚을 묶어 내는 사람으로 나누어서 하기도 하고, 농사일이 많은 집에서는 홀태를 여러 개 놓고 동시에 훑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