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차권좌윤주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883
한자 次權左尹鑄韻
이칭/별칭 「좌윤 권주의 운에 차운하여 쓰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몰년 시기/일시 1377년 - 양이시 사망
배경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 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양이시(楊以時)[?~1377]

[정의]

고려 후기 순창 출신의 문신 양이시가 지은 한시.

[개설]

양이시(楊以時)[?~1377]의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1357년(공민왕 6)에 문과에 급제하고 국자감 학유(國子監學諭), 고부 군수, 집현전 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권주(權鑄)[?~1394]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로, 홍건적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한 공으로 1363년(공민왕 12)에 신축 호종 이등 공신(辛丑扈從二等功臣)에 서훈되었고, 창왕(昌王) 때는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구성]

「차권좌윤주운(次權左尹鑄韻)」은 8행으로 이루어진 오언 율시로, 『동문선(東文選)』 권10 오언 율시(五言律詩)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차권좌윤주운[좌윤 권주의 운에 차운하여 쓰다]」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擬賦早春詩(의부조춘시)[조춘시를 지으려다 머리를 돌리니]

轉頭春欲歸(전두춘욕귀)[봄이 벌써 돌아가련다]

斷腸芳草遠(단장방초원)[애끊는 방초가 질펀하고]

滿目落花飛(만목낙화비)[눈에 그득히 낙화가 날리네]

修褉客方盛(수설객방성)[수계하는데 객은 바야흐로 많으나]

浴沂人正稀(욕기인정희)[기수에 목욕하는 사람은 드무네]

浩然淸興發(호연청흥발)[호연히 맑은 흥이 발하여]

新沐振吾衣(신목진오의)[새로 목욕하고 새 옷을 터네]

『논어(論語)』 선진 편에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 쐬고 노래하면서 돌아온다”라는 구절이 있다. 마지막 구는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에서 “새로 머리를 감은 자는 반드시 갓을 털고, 새로 목욕한 자는 반드시 옷을 턴다”에서 가져온 것이다.

[의의와 평가]

양이시의 시 4수가 『동문선』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시문에 매우 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명(明)나라 오명제(吳明濟)가 편찬한 『조선 시선(朝鮮詩選)』에도 양이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 『순창 향지』-절의 현사 편(순창 향지사, 2003)
  • 한국 고전 번역원(http://www.itkc.or.kr)
  • 한국 역대 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