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901584 |
---|---|
한자 | 安宅告祀 |
이칭/별칭 | 집 고사,성주 고사,도신,도신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
집필자 | 육민수 |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정월 또는 상달에 집을 지키고 보호해 주는 성주신에게 올리는 제사.
[개설]
안택 고사(安宅告祀) 는 음력 정월 또는 상달인 10월 중 오일(午日)이나 길일을 택하여 집안의 여러 신을 통솔하는 성주신에게 집안의 평안과 부귀를 기원하고, 또 한 해 동안 농사의 결실에 대하여 감사하며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집 고사, 성주 고사, 도신(禱神), 도신제(禱神祭) 등이라고도 한다. 가신제(家神祭)로서 천신(薦新) 의례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안택 고사는 햇곡으로 만든 술, 떡, 과일 등을 차려 놓고 제의를 지낸다. 정월에 행하는 안택 고사는 초사흗날부터 보름 사이에 하며, 10월 상달에 행하는 안택 고사는 늦어도 보름 전까지 끝낸다.
[연원 및 변천]
안택 고사 는 정월과 10월 두 번 행하는 곳이 많은데 정월의 경우는 연초의 액막이와 행운을 기원하는 성격이 강하며, 10월의 경우는 추수 감사제의 성격이 강하다. 우리 민족이 10월에 추수 감사제를 행했다는 기록은 『삼국지(三國志)』「위지 동이전(魏志東夷傳)」에 전하는데, 안택 고사 또한 천신 의례라는 점에서 이와 유사한 성격을 지녔으며, 따라서 연원이 깊다. 다만 안택 고사는 가신제이기 때문에 「위지 동이전」의 국가적 제례와는 차이가 있다.
한편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도 관련 기록이 전하는데, 10월에 “집집마다 무당을 데려다 성조신(成造神)을 맞이하여 떡과 과일을 베풀어 놓고 빌어 집안의 편안함을 바란다.”는 내용이 있어 안택굿의 실현 양상을 적고 있다. 즉 안택 고사는 집안의 주부에 의해 간단히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크게 할 때는 『동국세시기』의 기록처럼 무당을 불러 행하는데, 이를 안택굿이라 한다.
무당이나 소경이 밤새워 「안택경」을 읽으며 터주, 조상신, 성주, 조왕, 동신 등에게 한 해의 무사함과 소원 성취를 빈다. 가을 추수 후의 것은 감사제의 성격을 띤다. 안택 고사에 쓰이는 제물이나 모시는 신체(神體)는 집마다 다른 경우가 많아 가가례(家家禮)라고 할 수 있는데, 그렇지만 붉은팥을 얹은 시루떡을 사용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붉은색이 양기를 의미하고 잡귀를 예방하는 색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안택 고사는 1960~1970년대까지는 많이 행해졌지만 근래에는 거의 사라졌다.
[절차]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는 10월 중 말날[午日]이나 다른 길일로 택일하여 안택 고사를 행한다. 우선 대문 앞에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쳐 부정한 기운을 막는다. 다음에 쌀가루와 붉은팥을 넣고 시루떡을 쪄서 술이나 청수(淸水)와 함께 성주신, 조상신, 터주신 같은 신 앞에 놓는다.
집에 따라 나물이나 과일 등을 더 차리기도 하며, 시루떡 이외에 백설기를 더 준비하기도 한다. 혹은 고사떡 위에 북어나 실타래를 얹는 집도 있다. 주로 집안의 안주인인 주부가 손을 비비면서 가족의 평화, 행운, 건강 등을 기원한 뒤 떡을 나누어서 부엌[조왕], 사랑방, 광, 외양간, 화장실, 대문, 샘 앞에 놓는다. 이렇게 안택 고사를 지내면 집안에 탈이 없고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다고 믿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정월 초사흘부터 보름 사이에, 혹은 10월 상달의 보름 전에 말날이나 길일을 택하여 안택 고사를 행하였는데, 시루떡·술·과일 등을 준비하여 성주신·조상신·터주신 등에게 제의를 올렸다. 그리고 부엌·광·화장실 등에 떡을 떼어 놓은 후, 음식을 이웃이나 친척과 함께 나누어 먹었는데, 이처럼 안택 고사를 행하며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고 추수에 감사하고 액막이를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