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활인적덕해야 얻을 수 있는 재상지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844
한자 活人積德-宰相之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집필자 박정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3년 12월 - 「활인적덕해야 얻을 수 있는 재상지지」 『순창의 구전 설화』하에 수록
성격 풍수담
주요 등장 인물 나옹 대사|무학|주막집 여인|여인의 남편|이 진사
모티프 유형 얻지 못한 재상지지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풍수상 ‘재상지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활인적덕해야 얻을 수 있는 재상지지」나옹 대사(懶翁大師)[1320~1376]와 제자 무학(無學)[1327~1405]이 답산 수도하기 위해 순창을 들렀다가 한 주막집에서 ‘재상지지(宰相之地)’의 비밀을 누설하는 바람에 주막집 부부에게 ‘산도서(山圖書)’를 주어 ‘재상지지’를 얻을 수 있는 방도를 주었으나 결국 부부가 얻지 못했다는 풍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3년 12월 양상화가 엮어 순창 문화원에서 간행한 『순창의 구전 설화』하의 233~236쪽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순창은 풍수지리상 대혈이 많아서 옛날부터 지리에 통달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순창을 많이 찾아 답산 수도를 하였다. 나옹 대사와 그의 제자 무학도 답사 수도를 하기 위해 순창을 찾았다. 어느 날 두 대사는 정읍의 칠보를 거쳐서 순창으로 넘어서는데 노령의 대간맥에 대혈이 있을 것으로 믿어지는 용맥을 따라 내려오다가 해가 저물어 주막집에 들러 하룻밤을 지내기로 하였다.

그런데 이 주막집의 주인도 풍수지리에 관심이 많아서 오고가는 풍수객을 만나기 위해 주막집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이었다. 나옹무학은 산을 내려오면서 보았던 활인적덕한 후에야 얻을 수 있는 재상지지에 대하여 말하였다. 무학이 “선생님, 그 혈자리는 활인적덕가가 아니면 삼족이 멸망할 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하였다. 나옹은 “이 사람, 그런 말을 함부로 내뱉어도 안 되고, 그 자리에 서 있어도 안 되느니라.” 하였다. 그것은 국사봉 아래 군신봉조 형상이기 때문이었다.

이 말을 우연히 듣게 된 주막집 아낙은 방으로 들어가 공손히 예를 올리고 “활인적덕이라는 것이 어떠한 것입니까?”라고 물었다. 그러면서 “이런 일도 활인적덕이 될 수 있습니까?”라고는 말을 이었다. “어느 부인이 양갓집에 시집을 왔는데, 시집을 오자마자 집안이 망하고 남편까지 죽었습니다. 살길이 없어 걸식을 하여 연명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오직 뱃속에 든 아기를 위함이었습니다. 만삭이 되어 어느 집 앞을 지나다가 쓰러졌는데, 이것을 본 한 사람이 부인을 데려다 아이를 낳게 하고 3년 동안 보살펴 주었는데, 이것도 활인적덕이 될 수 있습니까?” 하였다. 나옹은 그렇다고 하였다. 그랬더니 아낙은 “그 사람이 바로 저의 남편입니다. 그 명당을 저희에게 가르쳐 주면 안 되겠습니까?” 하였다. 그러고는 “저의 집에는 많은 풍수가들이 머물고 있습니다. 그분들께 밥을 해 주고 보살피기 위해 제가 이 주막집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였다.

나옹은 한참 동안 듣고만 있다가 무학이 말을 함부로 해서 이런 곤란한 일이 생긴 것이 아니냐며 핀잔을 하였다. 그러고는 아낙에게 “듣고 보니 적덕한 것은 사실이네만 한 가지 부족한 것이 있으니 좀 더 노력하도록 내 방법을 가르쳐 주겠네.” 하면서 지필묵을 가져오도록 하였다. 아낙이 지필묵을 가져오자 나옹은 ‘산도서(山圖書)’를 쳐주면서 “이 자리는 택일을 잘 하여야 되니 하남 사는 이 진사를 찾아가 택일을 해서 묘를 쓰도록 하게.”라고 말하고는 그 주막집을 떠났다.

이튿날 아낙은 남편에게 산도서를 주면서 어젯밤에 있었던 일을 말하였다. 남편은 그것을 왜 이제야 말하느냐며 나옹 대사무학을 찾았으나 이미 그들은 그곳을 떠난 상황이었다. 아무리 수소문을 해도 나옹무학을 찾을 수가 없어 할 수 없이 행장을 꾸려 하남에 사는 이 진사를 찾아가기로 하였다.

하남에 도착한 아낙의 남편은 이 진사를 찾아 나섰으나 찾을 수가 없었다. 이 진사는 많은데 어느 이 진사가 나옹이 말한 이 진사인지 알 수가 없었던 것이다. 남편은 그제야 나옹의 말이 뭔가 부족한 것이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게 1년을 넘게 이 진사를 찾아 헤매었지만 찾을 길이 막연하였다. 집으로 돌아가자니 엄청난 대혈을 놓칠 것 같고, 이 진사를 찾는 일은 묘연하니 어찌할 수도 없었다. 실망하여 마을 앞에서 힘없이 앉아 아이들이 놀고 있는 것을 보고 있었다. 그런데 아이들이 놀다가 이 진사에게 비가 언제 올지를 물어보러 가자고 하는 것이 아닌가. 아낙의 남편은 정신이 번쩍 들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이 진사가 사는 곳이 어디냐고 물었다. 아이들은 저 산골짜기에서 사는 사람인데 진짜 이 진사인지를 잘 모른다고 하였다.

아낙의 남편은 황급히 그 골짜기로 찾아갔다. 가서 보니 움막에 기거하는 반백의 노인이 있었다. 노인을 보니 손이며 모양새가 진사 같지는 않고 그저 산속에 사는 늙은 농부로만 보였다. 속는 셈 치고 남편은 그 노인에게 절을 하고 산도서를 내밀었다. 노인은 산도서를 보더니 “이 자리는 활인적덕한 사람이 쓸 자리이네. 일반 사람이 쓰면 삼족을 멸할 자리야.” 하였다. 나옹과 같은 말을 하는 노인에게 남편은 그동안에 있었던 일을 모두 이야기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자네의 정성이나 적덕은 충분하지만 이곳에 묻힐 사람이 적선을 하지 못하였기에 그곳에 묫자리를 쓰면 안 되네.” 하였다. 아낙의 남편은 일어나 절을 하고는 “어찌 다른 방도가 없겠습니까?” 하였다. 노인은 한참 동안 말이 없더니 “자네 정성이 지극하니 한 가지 방도를 알려 주겠네. 이 시각부터 아버지의 묘를 파서 물이 나는 물구멍에다 넣고 3년 후에 나를 찾아오면 택일을 하여 주겠네.” 하였다. 그러면서 덧붙여 말하기를 “만약 하루만 늦어도 나는 이곳에 없을 것이네.” 하였다.

아낙의 남편은 노인에게 큰절을 올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아버지의 묘를 다른 곳에 3년을 모시고 3년 후에 다시 노인을 찾아갔으나 움막만 있을 뿐 노인은 보이지 않았다. 움막 안으로 들어가서 날짜를 세어 보니 3일이 늦어 있었다. 대혈을 놓쳤다는 생각에 대성통곡을 하고 있는데 한 아이가 왜 우느냐고 하였다. 아낙의 남편은 그동안 있었던 일을 아이에게 말했다. 아이는 “이 진사님은 어제 승천을 하셨습니다. 저에게 말씀하시기를 당신을 기다리기 위하여 3일을 늦추었는데 더 이상 기다릴 수가 없어서 떠난다는 말을 전해 달라 하셨습니다. 그리고 정성이 있으면 다시 사람을 만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결국 아낙의 남편은 재상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아직도 국사봉 아래 어딘가에서 재상지지는 후인을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활인적덕해야 얻을 수 있는 재상지지」의 주요 모티프는 ‘얻지 못한 재상지지’이다. 재상지지를 얻기 위해 주막집 부부가 갖은 노력을 하였으나 결국 얻지 못함을 통해 길지를 얻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음을 보여 준다. 또한 「활인적덕해야 얻을 수 있는 재상지지」에는 풍수에서도 적선이라는 방법으로 음덕을 쌓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가문을 빛내고 후손을 번창시키는 것이 단지 명당자리를 얻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좋은 묫자리를 얻는 것 자체가 음덕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사상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