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독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도룡리 정산 마을 앞 정자나무 아래에 놓인 들독. 도룡리 정산 마을에는 1950년대 초반까지 큰 들독과 작은 들독 두 개가 있었다. 이 들독들은 단오나 백중 날에 마을 머슴들이 품앗이할 능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시험하는 도구이기도 하였다. 큰 들독을 든 머슴은 세경을 더 받았고 작은 들독을 든 사람은 세경을 적게 받은 데서도 알 수 있듯,...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당산나무 아래에 있는 들독. 들독은 예부터 농촌에서 힘자랑하는 놀이 도구의 하나였다. 마을의 소년들은 대체로 15세에 이르면 노동에 동원되는데, 이때 노동할 수 있는 힘을 갖추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들독을 들어 올리는 풍속이 전해 왔다. 들독 들기가 일종의 입사 의식이었던 셈이다. 소년이 들독을 들어 올리는 힘을 가졌으면 마을 두...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종곡리 마을 당산에 있는 들독. 들독은 말 그대로 장성한 남자들이 힘자랑하는 데 쓰였던 돌로, 칠월 백중 날에 술멕이[호미씻이]를 하면서 들독 들기를 하고 놀았다고 전한다. 종곡리 장재동 마을은 재물을 모아 두는 마을이란 뜻으로, 옛날에는 부자가 많이 살았다고 한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마을임을 알 수 있는데, 마을 당산나무 아래에 위치한 들독은...
생업 도구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곡식의 이삭을 떨어내는 데 사용한 농기구. 순창군은 전 지역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을 만큼 전체 면적에서 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지만 전체 산업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다. 그 때문에 예부터 농기구를 많이 이용하였으며, 수확한 곡식을 떨어내는 도리깨를 자주 이용하였다. 도리깨는 곡식의 이삭을 두드려서 낱알을 떨어내는 데 쓰...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나락을 보관하려고 짚으로 만든 생활 용구. 순창 지역에서는 가을걷이한 나락을 보관할 때, 일반 농가에서는 가마니에 넣어 보관했지만 대농가에서는 마당 한가운데에 뒤지를 만들어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꺼내 방아를 찧어 먹었다고 한다. 바닥에 습기가 올라오지 않게 짚을 50㎝ 정도로 깔고, 그 위에 뒤지를 올려 나락을 넣었다. 이때 뒤지는...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곡물을 담아 놓거나 나르는 데 사용하던 짚으로 만든 그릇. 멱사리는 짚으로 날을 촘촘하게 결어 볏섬 크기로 만든 그릇으로, 몇 번밖에 쓰지는 못하지만 농가에서는 요긴한 그릇이었다. 모양은 멱둥구미와 비슷하나 깊이가 더 깊다. 바닥 만드는 것은 뒤지 만드는 것과 똑같다. 곳에 따라 멱구리[경기도 안성시], 멱사리[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야생의 짐승을 꾀어 잡는 데 사용하는 기구. 목는 주로 전라북도 지역에서 부르는 명칭이고, 지역에 따라 올무[경기도], 올맹이[충청남도], 치[전라남도], 옥내[강원도], 올코[평안북도], 치코[평안도], 옥조[함경도], 옥노[함경도], 홀롱개[경상도] 등으로 불린다. 이밖에 올모, 올미, 옥루, 옹노라는 이름도 있다. 덫은 인류가 먹을 것을 찾아...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짚이나 싸리 등으로 엮어서 거름과 흙 등을 담아 나르는 데 사용하였던 생활 용구. 산태미는 곡식을 담아 나를 때도 사용하고, 특히 돌밭이 많은 순창군의 산간 오지 지역에서는 자잘한 돌멩이들을 주워 나를 때도 사용하였다. 각 지역마다 부르는 호칭이 달라서 삼태기, 삼태, 꺼랭이, 발소쿠리, 짚소쿠리, 어랭이라고도 한다. 순창과 남원 지역에...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모를 심기 위해 쟁기로 갈아 놓은 논바닥을 반반하게 고르거나 흙덩이를 깨부수는 데 쓰는 농기구. 써레는 지역에 따라 써리, 써그리, 써레, 쓰래, 초파, 성으리라고도 한다. 써레의 몸체는 보통 소나무로 만들고, 써레 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같이 단단한 나무를 깎아 쓰지만, 한두 해가 지나면 갈아 줘야 한다. 무논에서 썼던 논 써레와 밭이나...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하는 수렵 도구. 쑤기는 주로 냇가나 하천에서 물이 잔잔하게 흘러가는 곳에 설치하였다. 순창 지역에서는 주로 싸릿대로 만들었는데, 어항처럼 사용했던 천렵 용구였다. 쑤기 만드는 작업은 꽤 힘이 들었다. 주로 짚이나 새끼를 꼬아 엮었다고 한다. 입구는 작게 만들고 아래쪽으로는 물고기가 들어가게 만든 용수와 같은 것이다...
-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개울이나 강, 바다 등에서 물고기를 잡는 어구. 어살은 물고기를 잡는데 사용했던 도구다. 싸리, 참대, 장나무 따위를 엮어서 개울가나 강, 바다 등에 날개 모양으로 둘러치거나 꽂아 놓는다. 나무 울타리 가운데에 그물을 달거나 길발, 깃발, 통발과 같은 장치를 하여 그 안에 고기가 들어가게 한다. 어살은 처음에는 강이나 하천에서 사...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들깨나 팥 등의 곡물에 있는 이물질을 걸러 내는 데 쓰는 도구. 얼개미는 들깨나 팥 등의 곡물에 있는 모래나 흙 등을 제거하기 위해 쓰는 생활 용구로, 원형이나 사각형의 나무 테 바닥에 철사, 대나무, 등나무 등의 망을 팽팽하게 쳐서 만들었다. 순창 지역에서 언제부터 얼개미를 써 왔는지는 알 수 없으나 농업이 주된 생산 활동이...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하천과 냇가에서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하던 어로 도구. 족대는 독대라고도 하는데, 구림면 월정리 오정자 마을 주민 박선옥에 의하면 순창 지역에서는 주로 ‘쪽대’라고 불렀다고 한다. 족대는 길이 3m가량 되는 대나무 2개를 교차시킨 후 그물을 잡아 매 놓은 형태의 어로 도구다. 입구인 위쪽은 좁게 만들고 아래쪽은 넓게 그물을 잡...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물건을 등에 지고 나르는 데 썼던 도구. 지게는 짐을 얹어 어깨와 등에 메고 나르는 데 사용한 연장으로,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다. 지게는 일반적으로 짐을 실어 나르는 ‘지게’와 쟁기를 싣고 다녔던 ‘쟁기지게’, 거름을 낼 때 썼던 ‘거름지게’가 있다. 지게는 세고 자리, 윗세장, 멜빵 세장, 허리세장, 가지, 등태, 목발, 멜빵[...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곡물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받거나 거르는 데 썼던 생활 도구. 체는 소나무로 쳇바퀴를 만들고 쳇불은 원형이나 사각형의 나무 테 바닥에 말총, 가는 철사 등의 망 또는 삼이나 명주 등의 포백(布帛)을 팽팽하게 쳐서 그 위에 고운 가루나 액체를 걸러 낼 때 쓰는 도구다. 지역에 따라 지름이 0.5~0.7㎜인 가루체를 신체[충청북도 제천...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곡물에 섞인 이물질을 골라내는 데 썼던 도구. 칭이[키]는 지방에 따라 챙이[전라남도 구례군·보성군], 칭이[경상남도 창녕군 영산, 전라북도 순창군], 치[강원도 삼척시 도계]라고도 부른다. 칭이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연장이다. 남쪽 지방에서는 대오리로 만들었고, 북쪽 지방에서는 고리버들로 만들었다. 칭이를 까불면서 알곡은 안쪽으로 모이고...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두엄자리를 뒤집거나 두엄을 퍼 담을 때, 외양간 등을 치울 때 쓰는 농기구. 호꾸는 순창 지역에서 쓰는 거름대를 말한다. 보통 발이 네 개 달려 있다. 날이 나무로 된 것을 ‘나무 호꾸’, 쇠로 된 것을 ‘쇠 호꾸’라고 부른다. 호꾸는 손 대신 쓰는 연장으로 서양의 포크를 닮았다. 다른 지역에서는 가락이 세 개짜리가 보통인데...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나락을 탈곡할 때 사용하는 기계. 호롱기는 홀태 보다 조금 더 진화한 탈곡기로, 지금도 기계가 들어갈 수 없는 오지 산간 지방에서 쓰이고 있다. 농촌 체험 중 수확 체험을 할 때 많이 쓰인다. 호롱기에서 나락을 훑어 내는 부분을 둥글통이라고 한다. 둥글통 밑에 양쪽으로 발판이 달려 있어 발판을 맓아 내리면서 둥글통을 돌려 탈곡...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나락을 훑을 때나 볏짚 추리기를 할 때 썼던 도구. 홀태는 벼나 보리를 훑어 내거나 볏짚을 골라서 쓸 때도 이용하였다. ‘그네’라고도 부르지만 보통은 홀태로 부른다. 홀태는 손으로 쓰던 손홀태가 능률적으로 발달한 기구이다. 손홀태는 손바닥만 한 나무판자를 빗처럼 깎고 빗살 사이로 벼이삭을 넣어 알곡을 훑어 내 하루 한 가마 일...
살림 도구
-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누룩을 만들 때 사용하는 틀. 누룩은 술을 만들기 위해 밀이나 쌀·밀기울 등을 갈아서 반죽하여 적당한 온도에서 숙성시켜 만든다. 즉 효소를 지닌 곰팡이를 쌀, 밀기울 등에 번식시켜 만든 발효제이다. 누룩틀이란 누룩을 반죽한 후 일정한 크기로 모양을 만들어 숙성시키기 위해 만든 틀이다. 누룩에 대한 기록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처음 보인다. 『삼국사...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다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틀. 다식(茶食)이란 우리나라 고유 과자의 하나로 쌀, 콩 등의 볶은 가루나 승검초, 황율(黃栗)[밤], 검은 깨. 송홧가루 등을 꿀이나 조청 등으로 반죽해서 만든 것이다. 이 다식을 박아내는 틀이 다식판인데, 예전에는 제사상에 반드시 올려야 하는 제수 용품이었다. 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에는 쌀가루나 밀가루·...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사용하는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하게 나온 오지 그릇. 도가지는 항아리의 전라도 방언이다. 항아리는 곡물을 담아 놓거나 장류나 물을 담는 데 써 왔다. 항아리 ‘항(缸)’ 자는 ‘장군 부(缶)’에 ‘장인 공(工)’이 들어가서 액체를 담는 그릇이란 의미의 상형 문자다. 순창 지역은 예부터 장류가 발달하여 다양한 크기의 항아리를 이용하였다....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흰 떡이나 쑥떡에 모양과 무늬를 찍어 낼 때 도장처럼 사용하는 도구. 떡살은 예부터 여인들의 살림 도구였다. 그래서 조선 시대 여인들은 혼숫감으로 떡살을 챙겨 갔다고 한다. 절편을 만들어 이웃과 나눠 먹을 때 자신의 살림 솜씨를 자랑하는 방편이기도 하였다. 더욱이 큰 잔칫날에 함께 모여 떡을 만들 때는 온 마을 떡살이 다 모이게 되므로...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곡물을 가는 데 썼던 도구. 순창 지역에서는 밀을 가루로 만들거나 팥, 콩, 메밀, 녹두 등을 거칠게 탈 때 또는 불린 콩을 가는 데 맷돌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불리는 명칭처럼 순창 지역에서도 맷돌이라고 불렀다. 맷돌은 중국을 비롯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볼 수 있는 생활 도구이다.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매’로, 「농...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소주를 내리는 데 쓰였던 재래식 그릇. 순창 지역에서 예부터 장류가 발달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물맛이 좋기 때문이다. 삼한 시대 마한의 옛 지명이 ‘옥천’인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런데 물맛만 좋아서 장류 발효가 잘 되는 것은 아니고, 순창의 기후 조건도 여기에 한 몫 한다. 연평균 기온 13℃, 안개 일수 77일이 되다 보...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쌀을 보관하기 위해 나무로 만든 생활 도구. 쌀궤는 쌀을 담아 두는 저장고로, 나무판을 조립해서 만든 것과 통나무의 속을 파서 만든 것이 있다. 언제부터 만들어서 썼는지는 알 수 없으나 쌀을 보관해 놓고 먹을 필요성을 느꼈던 시대부터 써 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1970~1980년대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쌀통이 나와 그 구실을 대신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