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827
한자 羅州林氏節度公派宗中遺品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유산길 40-10[유산리 20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태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2년 6월 20일연표보기 -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회림각 -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유산길 40-10[유산리 208](N5°28' 26.3346"/E127° 15' 8.6112")지도보기
성격 기록 유산|문서류|관부 문서|시권류
재질 종이|목재
소유자 임순택|임준택
관리자 임순택|임준택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유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인 임용진임문수의 유품 일괄.

[개설]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유산리나주 임씨(羅州林氏)의 집성촌으로,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羅州林氏節度公派宗中遺品)나주 임씨 절도공파 종중에서 보관하고 있는 일괄 유물이다. 순창군 동계면나주 임씨는 선조인 임탁(林卓)이 조선 건국과 함께 회진(會津)으로 이주하여 회진 임씨로 하였다가, 뒤에 회진현이 나주에 병합됨으로써 본관을 나주라 하였다. 임탁의 8세손 임진(林晉)이 절도공(節度公)이 됨으로써 임탁은 절도공파의 파조(派祖)가 되었다.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은 절도공파의 시조가 되는 임진의 4세손인 임용진(林龍鎭)임용진의 당질인 임문수(林文洙)의 것이 대부분이다. 임용진은 1756년(영조 32)에 태어났으며, 1816년(순조 16)의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당시 거주지는 곡성(谷城)이었다. 전라도 도사(全羅道都事)와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역임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문수는 1802년(순조 2)에 태어나, 1849년(헌종 15)의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당시에 남원에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문과 방목(文科榜目)』에 기록되어 있다. 관직으로는 이조 정랑과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역임하였다고 알려져 있는데, 임문수가 받은 교첩과 교지를 정리하여 관력을 알아보면, 주로 승문원(承文院)과 사헌부(司憲府) 및 사간원(司諫院)과 같은 청직(淸職)에 근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은 1992년 6월 20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1994년에 보호각으로 건립한 회림각(會林閣)에 소장되어 있으며, 후손인 임순택과 임준택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형태]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 일괄 66점은 임용진의 홍패(紅牌)·어사화(御史花)·일산(日傘) 등 유품 7점과 임문수의 홍패, 교지 24장 및 기타 유품 5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임용진임문수의 교지 및 교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유학 임용진 문과 병과 제십이인 급제 출신자 교지 가경 이십일년 시월 십오일(幼學林龍鎭文科丙科第十二人及第出身者敎旨 嘉慶二十一年十月十五日)

1816년(순조 16),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90.2㎝×67.8㎝

2. 임용진 위조봉대부 행전라도 도사자 교지 가경 이십이년 십일월 이십삼일(林龍鎭爲朝奉大夫行全羅道都事者敎旨 嘉慶二十二年十一月二十三日)

1817년(순조 1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8㎝×75.0㎝

3. 이조 가경 이십이년 시월 십구일 봉교 부사과 임용진 위승의랑 성균관 전적자(吏曹嘉慶二十二年十月十九日奉敎副司果林龍鎭爲承議郞成均館典籍者)

조선 시대,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5㎝×74.3㎝

4. 임용진 위통훈대부 행병조 정랑자 도광 원년 칠월 이십육일(林龍鎭爲通訓大夫行兵曹正郞者 道光元年七月二十六日)

1821년(순조 21),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9㎝×74.9㎝

5. 가경 이십이년 시월 초육일 임용진 차정(嘉慶二十二年十月初六日 林龍鎭差定)

1817년(순조 1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3㎝×75.3㎝

6. 유학 임문수 문과 병과 제구인 급제 출신자 도광 이십구년 사월 일(幼學林文洙文科丙科第九人及第出身者 道光二十九年四月日)

1849년(헌종 15),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0㎝×75.1㎝

7. 이조 도광 삼십년 시월 십이일 봉교 권지 승문원 부정자 임문수 위통사랑 행승문원 정자자 교첩(吏曹道光三十年十月十二日奉敎權知承文院副正字林文洙爲通仕郞行承文院正字者敎牒)

1850년(철종 1),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8㎝×74.3㎝

8. 이조 도광 삼십년 십이월 십삼일 봉교 승문원 부정자 임문수 위통사랑 행승문원 정자자 교첩(吏曹道光三十年十二月十三日奉敎承文院副正字林文洙爲通仕郞行承文院正字者敎牒)

1850년(철종 1),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5㎝×73.1㎝

9. 이조 함풍 원년 이월 이십칠일 봉교 승문원 정자 임문수 위계공랑 행승문원 저작자 교첩(吏曹咸豊元年二月二十七日奉敎承文院正字林文洙爲啓功郞行承文院著作者敎牒 )

1851년(철종 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2㎝×74.2㎝

10. 이조 함풍 원년 윤팔월 십삼일 봉교 전 저작 임문수 위통선랑 행승문원 저작자 교첩(吏曹咸豊元年閏八月十三日奉敎前著作林文洙爲通善郞行承文院著作者敎牒)

1851년(철종 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8㎝×74.2㎝

11. 이조 함풍 원년 십일월 십사일 봉교 전 저작 임문수 위통선랑 행승문원 저작자 교첩(吏曹咸豊元年十一月十四日奉敎前著作林文洙爲通善郞行承文院著作者敎牒)

1851년(철종 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6㎝×73.1㎝

12. 도광 이십구년 십일월 임문수 차정(道光二十九年十一月 林文洙差定)

1849년(헌종 15),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2㎝×70.3㎝

13.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성균관 전적자 교지 함풍 이년 유월 이십칠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成均館典籍者敎旨 咸豊二年六月二十七日)

1852년(철종 3),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1㎝×79.0㎝

14.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헌부 감찰자 교지 함풍 이년 칠월 이십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憲府監察者敎旨 咸豊二年七月二十日)

1852년(철종 3),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6.1㎝×81.7㎝

15.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헌부 지평자 교지 함풍 이년 십일월 초일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憲府持平者敎旨 咸豊二年十一月初一日)

1852년(철종 3),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6㎝×74.9㎝

16. 임복진 위절충장군 행용양위 부호군자 교지 함풍 이년 십일월 일(林馥鎭爲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者敎旨 咸豊二年十一月日)

1851년(철종 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3㎝×79.7㎝

17. 임복진 위절충장군 행용양위 부호군 겸 오위장자 교지 함풍 삼년 삼월 일(林馥鎭爲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兼五衛將者敎旨 咸豊三年三月日)

1853년(철종 4),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6.2㎝×74.7㎝

18. 유인 강씨 증숙부인자 교지 함풍삼년삼월일(孺人姜氏贈淑夫人者敎旨 咸豊三年三月日)

1853년(철종 4),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9㎝×82.4㎝

19. 유인 이씨 증숙부인자 교지 함풍 삼년 삼월 일(孺人李氏贈淑夫人者敎旨 咸豊三年三月日)

1853년(철종 4),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9㎝×82.2㎝

20.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간원 정언자 교지 함풍 오년 사월 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諫院正言者敎旨 咸豊五年四月日)

1855년(철종 6),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8㎝×82.1㎝

21. 임문수 위통훈대부 이조 정랑자 교지 함풍 오년 오월 초사일(林文洙爲通訓大夫吏曹正郞者敎旨 咸豊五年五月初四日)

1855년(철종 6),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9㎝×82.1㎝

22. 임복진 위가선대부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林馥鎭爲嘉善大夫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9㎝×81.9㎝

23. 임복진 위가선대부 행용양위 호군 겸 오위장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林馥鎭爲嘉善大夫行龍驤衛護軍兼五衛將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65.8㎝×80.7㎝

24. 임복진 위가선대부 행용양위 호군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林馥鎭爲嘉善大夫行龍驤衛護軍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8㎝×82.4㎝

25. 학생 임형원 증가선대부 호조 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學生林馨遠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總管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8㎝×82.2㎝

26. 학생 임덕화 증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 참찬관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學生林德華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7.8㎝×82.3㎝

27. 학생 임하정 증통훈대부 사복시 정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學生林夏楨贈通訓大夫司僕寺正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3.8㎝×74.5㎝

28. 유인 김씨 증숙부인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孺人金氏贈淑夫人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2㎝×73.4㎝

29. 유인 박씨 증숙인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孺人朴氏贈淑人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3㎝×74.2㎝

30. 임복진 위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林馥鎭爲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6.0㎝×72.5㎝

31. 숙부인 이씨 증정부인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淑夫人李氏贈貞夫人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7㎝×73.3㎝

32. 유인 신씨 증정부인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孺人申氏贈貞夫人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9㎝×75.9㎝

33. 숙부인 강씨 증정부인자 교지 함풍 육년 정월 일(淑夫人姜氏贈貞夫人者敎旨 咸豊六年正月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3.5㎝×74.6㎝

34. 임문수 위통훈대부 겸 은계도 찰방자 교지 함풍 육년 유월 이십오일(林文洙爲通訓大夫兼銀溪道察訪者敎旨 咸豊六年六月二十五日)

1856년(철종 7),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6㎝×75.1㎝

35. 이조 함풍 칠년 정월 초일일 봉교 통선랑 임면상 위통덕랑자 교첩(吏曹咸豊七年正月初一日奉敎通善郞林冕相爲通德郞者敎牒)

1857년(철종 8),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3.6㎝×72.6㎝

36. 이조 함풍 칠년 정월 초일일 봉교 통선랑 임경상 위통덕랑자 교첩(吏曹咸豊七年正月初一日奉敎通善郞林景相爲通德郞者敎牒)

1857년(철종 8),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7㎝×76.0㎝

37. 이조 함풍 칠년 정월 초일일 봉교 통선랑 임영상 위통덕랑자 교첩 영(吏曹咸豊七年正月初一日奉敎通善郞林映相爲通德郞者敎牒映)

1857년(철종 8),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6㎝×74.7㎝

38. 임문수 위선략장군 행용양위 부사직자 교지 동치 칠년 이월 일(林文洙爲宣略將軍行龍驤衛副司直者敎旨 同治七年二月日)

1868년(고종 5),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3㎝×74.5㎝

39.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헌부 집의자 교지 동치 칠년 이월 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憲府執義者敎旨 同治七年二月日)

1868년(고종 5),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8㎝×74.9㎝

40. 임문수 위절충장군 행용양위 부호군자 교지 광서 원년 이월 일(林文洙爲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者敎旨 光緖元年二月日)

1875년(고종 1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0㎝×73.7㎝

41. 임문수 위통정대부자 교지 광서 원년 이월 일(林文洙爲通政大夫者敎旨 光緖元年二月日)

1875년(고종 1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2㎝×74.2㎝

42. 임문수 위통정대부 병조 참지자 교지 광서 오년 이월 일(林文洙爲通政大夫兵曹叅知者敎旨 光緖五年二月日)

1879년(고종 16),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1㎝×75.3㎝

43. 임문수 위통정대부 병조 참의자 교지 광서 오년 이월 일(林文洙爲通政大夫兵曹叅議者敎旨 光緖五年二月日)

1879년(고종 16),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6㎝×73.6㎝

44. 숙인 하씨 증숙부인자 교지 광서 오년 이월 일(淑人河氏贈淑夫人者敎旨 光緖五年二月日)

1879년(고종 16),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0㎝×75.3㎝

45.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헌부 장령자 교지 함풍 팔년 정월 초오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憲府掌令者敎旨 咸豊八年正月初五日)

1857년(철종 8),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8.8㎝×88.3㎝

46. 임문수 위어모장군 행용양위 부사직자 교지 함풍 팔년 이월 일(林文洙爲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直者敎旨 咸豊八年二月日)

1858년(철종 9),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8㎝×75.9㎝

47. 임문수 위통훈대부 겸 삼례도 찰방자 함풍 십년 윤삼월 이십구일(林文洙爲通訓大夫兼參禮道察訪者 咸豊十年閏三月二十九日)

1860년(철종 11),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3.5㎝×74.6㎝

48. 임문수 위통훈대부 겸 삼례도 찰방 춘추관 기사관자 교지 함풍 십년 사월 일(林文洙爲通訓大夫兼參禮道察訪春秋館記事官者敎旨 咸豊十年四月日)

1860년(철종 11),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6㎝×75.6㎝

49. 임문수 위어모장군 행용양위 부사직자 함풍 십일년 유월 일(林文洙爲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直者 咸豊十一年六月日)

1861년(철종 1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3.6㎝×72.6㎝

50.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헌부 장령자 교지 함풍 십일년 유월 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憲府掌令者敎旨 咸豊十一年六月日)

1861년(철종 12),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7㎝×76.0㎝

51. 임문수 위선략장군 행용양위 부사과자 교지 동치 삼년 사월 일(林文洙爲宣略將軍行龍驤衛副司果者敎旨 同治三年四月日)

1864년(고종 1),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6㎝×74.7㎝

52. 임문수 위어모장군 행용양위 부사직자 교지 동치 오년 유월 일(林文洙爲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直者敎旨 同治五年六月日)

1866년(고종 3),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3㎝×74.6㎝

53.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헌부 장령자 교지 동치 오년 유월 초십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憲府掌令者敎旨 同治五年六月初十日)

1866년(고종 3),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8㎝×74.9㎝

54.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간원 헌납자 교지 동치 오년 십이월 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諫院獻納者敎旨 同治五年十二月日)

1866년(고종 3),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5.0㎝×73.7㎝

55. 임문수 위어모장군 행용양위 사직자 교지 동치 육년 정월 일(林文洙爲禦侮將軍行龍驤衛司直者敎旨 同治六年正月日)

1867년(고종 4),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3㎝×74.2㎝

56. 임문수 위통훈대부 행사간원 사간자 교지 동치 육년 십이월 일(林文洙爲通訓大夫行司諫院司諫者敎旨 同治六年十二月日)

1867년(고종 4), 1건. 행자수 부정(行字數不定). 54.2㎝×75.3㎝

[의의와 평가]

한 가문의 유품이 후손에게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는 것은 전통문화 계승의 차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비록 임문수의 유품 가운데 일부는 화재로 인해 소실되기도 하였지만, 다행히 오암사(鰲庵祠)에 보관된 홍패와 교지 등이 남아 있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히,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은 홍패·어사화·일산 및 교지·교첩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순조부터 고종 대까지의 것으로 시대적 변화상도 볼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정**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은 문화재로서 고유명사로 명칭을 붙여서 써야 됨(검토 필요)
  • 답변
  • 디지털순창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식 문화재 지정 명칭은 나주임씨절도공파종중유품이 맞습니다. 다만 근래 문화재 명칭은 의미 단위로 띄어쓰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추세이며, 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는 검색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의미 단위로 띄어쓰고 있으니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5.01.19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