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321
한자 花山書院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형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07년연표보기 - 화산 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화산 서원 훼철
성격 서원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오교리에 있던 조선 후기 서원.

[개설]

화산 서원(花山書院)은 1607년(선조 40)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周)[1429~1503], 충암(冲庵) 김정(金淨)[1486~1521],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1510~1560],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1533~1592],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1537~1593],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 석헌(石軒) 유옥(柳沃)[1487~1519], 이계(伊溪) 신공제(申公濟)[1469~1536], 어은(漁隱) 양사형(楊士衡)[1547~1599], 자연당(自然堂) 김시서(金時瑞)[1652~1707] 등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순창 군지』에 의하면 제기(祭器)는 유보구개(鍮簠具盖) 5개, 유궤구개(鍮簋具盖) 6개, 상준(象樽) 2개, 작(爵) 15개, 작대(爵臺) 15개, 향합(香盒) 5개, 향로(香爐) 5개, 조상(俎床) 5개, 촉대(燭臺) 2개, 변(籩) 17개, 두(䇺) 20개, 부정(釜鼎) 등이 있었다. 원임(院任)은 원장 1명, 원이(院貳) 2명, 고직(庫直) 1명, 노비는 없었다. 전답은 논이 4석(石) 6두락지(斗落只), 밭이 9두락지가 있었고, 서책은 『축사(祝辭)』 1권, 『서원 영건 유사록(書院營建有司錄)』 1권, 『오현 언행록(五賢言行錄)』 1권, 『청액소록(請額疏錄)』 1권, 『하서 선생 언행록(河西先生言行錄)』 1권, 『춘추 제축문(春秋祭祝文)』 1권 등이 있었다.

일설에는 서원의 명칭을 화산 서원(華山書院)으로 명시한 것이 있으며, 또한 화산 서원양사형만을 배향하여 유등면 저탄(猪灘) 위쪽에 1607년 창건되었다는 기록도 있는데 모두 잘못으로 보인다.

[위치]

화산 서원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위치는 순창군 유등면 저탄(猪灘) 상(上)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을 주민에 의하면 신경준 묘역 근처에 화산 서원이 있었다고 한다. 유적지로 가는 길은 순창군청에서 대강면·유등면 방면 지방도 730호선을 가다 유등면 행정복지센터유등 초등학교를 지나 내이 삼거리에서 적성면·오교리 방향으로 좌회전하면 광주 대구 고속 도로 아래 굴다리가 나온다. 그 굴다리를 지나 2㎞ 정도 가서 나오는 오교 마을에서 적성 방면으로 500m 가면 오른쪽 야산으로 들어가는 농로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가면 여암(旅菴) 신경준(申景濬)[1712~1781]의 묘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변천]

1607년 9월 8일 순창군 유림의 공의(公議)로 신말주, 김정, 김인후, 고경명, 김천일 등의 학문과 덕행,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고 그 이듬해 위패를 봉안하였다. 서원은 사액 서원의 전례를 받지 못하였지만 사액 서원과 같은 모든 의례가 시행되었다. 그 후 박상, 유옥, 신공제, 양사형, 김시서 등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형태]

현존하지 않아 형태를 알 수 없다. 훼철되기 전 건물로는 현전(賢殿)·신문(神門)·동서 협문(東西夾門)·강당(講堂)·전사청(典祀廳)·고사(雇舍)·대문(大門) 등이 있었다. 서원 터로 추정되는 근처에 신경준(申景濬)의 묘가 있으며, 서원이 있던 야산은 지금도 서원재[書院峙]라고 불린다.

[의의와 평가]

의리와 충절을 행한 선현을 모셨고, 또한 사액 서원과 같은 위상을 지닌 화산 서원은 전통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신속히 복원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1.15 현행화 [위치] 사무소→행정복지센터
2020.10.12 내용수정 "하서(下書) → 하서(河西)"로 수정
2020.05.20 오류 수정 [개설] 하서(下書) 김인후(金麟厚)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이용자 의견
김** 하서(下書) 김인후(金麟厚 ->河西

河西先生言行錄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3.1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