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900932 |
---|---|
한자 | 金時瑞 |
이칭/별칭 | 휴징(休徵),자연당(自然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최범호 |
출생 시기/일시 | 1652년![]() |
---|---|
활동 시기/일시 | 1680년경 - 훈몽재 수축, 자연당 건립 |
추모 시기/일시 | 1827년 - 김시서 어암 서원에 배향 |
추모 시기/일시 | 1920년 - 김상기 등 후손이 『자연당 유고』 편찬 |
출생지 | 김시서 출생지 - 전라남도 장성군 |
거주|이주지 | 김시서 이주지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
사당|배향지 | 어암 서원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 |
사당|배향지 | 화산 서원 - 전라북도 순창군 |
사당|배향지 | 서암 서원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울산(蔚山) |
대표 관직|경력 | 찰방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에 거주하며, 강학당인 훈몽재를 수축한 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휴징(休徵), 호는 자연당(自然堂). 현조할아버지[5대조]는 김인후(金麟厚)[1510~1560], 아버지는 김창하(金昌夏)이다.
김시서(金時瑞)는 1652년(효종 3) 장성(長城)에서 출생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순창의 쌍치에 은거하며,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2년 여간 강학하던 훈몽재(訓蒙齋)를 1680년경 수축(修築)하고 그 옆에 초당(草堂)인 자연당(自然堂)을 새로 지어 하서의 유업을 계승하였다.
1920년에 김시서의 9세손인 김상기(金相琦)·김상섭(金相燮) 등이 시문집을 모아 『자연당 유고(自然堂遺稿)』를 편찬하였다.
1827년 어암 서원(魚巖書院)을 창건하여 배향하였으나 1876년(고종 13) 서원이 철거되었다. 순창의 화산 서원(華山書院)과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어암 서원(魚岩書院)에 배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