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576
한자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
영어공식명칭 Three buddhist paintings in Daeungjeon Hall of Jikjisa Temple
영어음역 Jikjisa Daeungjeon Samjonbultaenghwa
이칭/별칭 「직지사 삼세불회탱」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봉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0년 8월 23일연표보기 -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보물 제67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보물 재지정
제작 1744년연표보기
현 소장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지도보기
성격 후불 탱화
작가 진기|지영 등
소유자 직지사
관리자 직지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후불탱화.

[개설]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는 1744년(영조 20) 승려 화가 진기(震基)와 지영(智英) 등이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세계(三世界)의 교리를 배경으로 하여 중앙에는 석가불의 「영산회상도」, 왼쪽에는 약사불의 「약사회상도」, 오른쪽에는 아미타불의 「아미타회상도」를 배치하였다. 1980년 8월 23일 보물 제67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렸다. 크기는 중앙의 「영산회상도」가 가로 300㎝, 세로 610㎝이고, 왼쪽과 오른쪽의 「약사회상도」와 「아미타회상도」가 각각 가로 240㎝, 세로 610㎝이다.

「영산회상도」는 석가불이 영취산에서 여러 불보살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화면 중앙에 석가불이 앉아 있다. 석가불은 중앙의 높은 연화대 위에서 악귀를 누르는 항마촉지인의 손 모양과 왼쪽 어깨에만 법의를 걸친 우견 편단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균형 잡힌 체구와 둥근 얼굴에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두광과 신광을 세밀하게 그리고 있어서 불상과 잘 조화되고 있다. 그 양옆으로 8대 보살과 10대 제자, 사천왕 등이 그려져 있으며, 둘레에 많은 범문을 써 놓았다.

「약사회상도」의 약사불은 중앙에 위치한 높은 연화 대좌 위에 결가부좌했으며, 약합을 들고 있다. 두광과 신광의 형태는 동일하며, 법의를 양 어깨에 걸친 통견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모습이나 얼굴의 경우 지극히 작은 눈과 입 등이 매우 단아하고 엄숙한 인상을 풍긴다. 그 주위에 8대 보살과 12신장, 사천왕 등이 에워싸고 있다. 철저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도이다.

「아미타회상도」의 아미타불은 중앙에 있는 높은 연화대 위에 결가부좌했으며 법의는 왼쪽의 약사불과 같은 양 어깨에 걸친 통견이다. 두광과 신광 및 정상 육계의 광명의 형태 또한 모두 약사불과 같으나 약합을 지니지 않은 것이 다르다.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세지보살, 신장상 등이 둘러싸고 있다.

[특징]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대웅전 내 영산회상 불화와 부수적으로 동방 만월 세계와 서방 극락 세계를 상징하는 불화를 구성해 구도의 조화를 이루려 했으나 좌우 배치에 차질이 생기면서 도상이 다른 삼세불을 하나의 세트로 정립해 특수한 구도를 형성하였다. 즉, 사천왕의 경우 중앙의 「영산회상도」에는 남방증장천왕과 서방광목천왕을 표현하고, 왼쪽의 「약사회상도」에는 동방지국천왕, 오른쪽의 「아미타회상도」에는 북방다문천왕을 나타내서 복합적인 구도를 형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는 제작 연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뛰어난 묘사력, 안정감 있는 색감 등으로 조선 후기 삼세 불화를 대표할 만한 수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풍부한 화기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주목되는데, 이는 삼세 불화의 도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준과 교리적 배경의 접근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약사회상도」와 「아미타회상도」가 복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상징하는 무병장수와 같은 현세적 염원을 담은 당시의 신앙적 배경이 반영된 결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