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산회상탱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577
한자 靈山會上幀畵
영어공식명칭 Buddhist painting
영어음역 Yeongsanhoe Sangtaenghwa
이칭/별칭 「삼세불화」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봉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1744년연표보기
문화재 지정 1980년 8월 23일연표보기
현 소장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지도보기
성격 후불 탱화
작가 세관 외 15명
소유자 직지사
관리자 직지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670-1호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후불탱화.

[개설]

「영산회상탱화(靈山會上幀畵)」는 1744년(영조 20) 세관(世冠) 외 15명의 화사(畫師)가 제작한 불화이다. 「삼세불화」라고도 부른다. 불화 아래쪽에 있는 긴 화기를 통해 불사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실, 불화의 성격을 알 수 있다. 1980년 8월 23일 보물 제670-1호로 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영산회상탱화」의 크기는 가로 300㎝, 세로 610㎝로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렸다. 석가불이 영취산에서 여러 불보살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화면 중앙에 석가불이 앉아 있다. 그 양옆으로 8대 보살과 10대 제자, 사천왕 등이 그려져 있으며, 둘레에 많은 범문(梵文)을 써 놓았다. 석가불은 중앙의 높은 연화대 위에서 악귀를 누르는 항마촉지인의 손 모양과 왼쪽 어깨에만 법의를 걸친 우견 편단의 모습을 하고, 균형 잡힌 체구와 둥근 얼굴에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두광과 신광을 세밀하게 그리고 있어서 불상과 잘 조화되고 있다.

[특징]

「영산회상탱화」의 표현 기법은 본존불과 협시 등 중요 인물을 크게 묘사했던 전통적 수법을 적용한 것 외에도 일반적으로 상·하(上下) 이중 구도에서 상·중·하(上中下) 3단 구도를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불화 아래쪽에 있는 긴 화기는 불화의 성격, 불사의 전반적인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의의와 평가]

「영산회상탱화」는 제작 연대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뛰어난 묘사력, 안정감 있는 색감 등으로 조선 후기 삼세 불화를 대표할 만한 수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풍부한 화기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주목되는데, 이는 삼세 불화의 도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준과 교리적 배경의 접근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