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용산리 신기 미륵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641
한자 龍山里新基彌勒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유적/민간 신앙 유적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용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형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용산리 신기 미륵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용산리 지도보기
원소재지 용산리 신기 미륵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용산리
성격 풍수 비보용|기자용
크기(높이,둘레) 162㎝[높이]|32㎝[두께]|30㎝[폭]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용산리 신기 마을에 있는 미륵불.

[개설]

팔덕면 용산리 신기 마을에는 독특한 불상형의 석인상이 있다. 이 석인상은 순창읍 충신리에 위치한 석인상[충신리 석장승]과 기본적으로 얼굴상이 흡사하다. 순창읍에는 남계리충신리에 각각 석인상 1기씩이 있는데, 이 석인상은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석인상이다. 순창읍의 석인상은 석장승 또는 석장생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석장승보다는 미륵불에 가깝다. 석인상은 입석의 전면상 또는 얼굴상을 조각한 형태이며, 안상에 백호를 장식한 것을 살펴보면 기본형은 미륵불이지만, 안상의 도상은 순창의 역사 문화와 관련이 있는 듯하다. 왜냐하면 두 석인상은 순창 지역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석인상은 미륵불과 성황 신상이 조합된 신상으로 보인다. 순창은 고려 후기에 단오절 성황제가 융성하였던 곳이며, 그 당시에는 미륵 신앙도 성행하였다. 그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풍수 비보 기능의 석인상을 조형하여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산리 신기 미륵도 고려 후기 미륵불로 추정할 수 있다.

[위치]

용산리 신기 미륵팔덕면 용산리 신기 마을 골목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는 개인 집 정원에 있었으나 그 주인이 사망하자 마을 주민들이 마을 입구 쪽 골목길에 세워 놓은 것이다. 그런데 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석인상이 원래 보호각 안에 있었다고 증언하는 것으로 볼 때 기자 대상의 미륵불이었으며, 득남한 사람이 자신의 집에 미륵당이라는 보호각을 건립하여 보호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용산리 신기 미륵은 방형 석주형 미륵불로 크기는 높이 162㎝, 두께 32㎝, 폭 30㎝이다. 재질은 화강암이다. 얼굴상만 조각되어 있는데, 눈과 눈썹, 코와 입을 표현하였다. 눈은 매우 가늘게 조각하였고, 조각의 선이 가는 편이다. 석인상의 안상 구도를 본다면, 기본적으로 순창읍 충신리 석장승과 동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의례]

예전에는 개인이 집 안에서 모신 미륵불로 치성의 대상이었겠지만, 현재는 의례의 대상이 아니다.

[현황]

순창 지역에는 고려 시대 전통의 석인상과 석각들이 몇 곳 있다. 최근 발견된 팔덕면 용산리 신기 미륵은 정확한 실상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순창읍 충신리 석장승과 흡사하여 앞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

[의의와 평가]

용산리 신기 미륵은 고려 후기 석인상의 도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순창읍 남계리 석장승은 여성상이지만 부처의 안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여성상이 위치하는 곳을 각시수페라고 부르는데, 각시수페는 성황당의 당각시를 닮았다는 석인상의 각시가 위치하는 곳의 지명이다. 따라서 미륵 부처와 성황당 당각시가 조합된 석상의 상대인 석인상의 조각과 흡사하여, 용산리 신기 미륵도 남자상을 조각한 석인상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순창의 석인상 연구는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