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874
한자 民謠
이칭/별칭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집필자 유장영

[정의]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인정, 풍속, 생활 감정 따위를 나타내어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노래.

[개설]

민요는 특별한 재주나 기교가 없이도 이 땅의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만들고 부를 수 있다. 민요는 그 기능에 따라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등으로, 향유 계층에 따라서는 성인요, 부녀요, 아동요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민요는 흔히 통속 민요[대중 민요]와 토속 민요[향토 민요]로 구분하기도 한다. 통속 민요는 「아리랑」, 「창부 타령」, 「도라지」 등과 같이 시기적·지역적으로 국한되지 않고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향유되는 민요이다. 보다 전문적인 민요 가창자들에 의하여 넓은 지역에 전파되며 작곡자가 드러나기도 한다.

[순창 민요의 지역성]

순창 민요는 전라북도 내 그 어떤 곳보다 다양하고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이는 순창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순창군은 전라북도에서 동남부 산간 분지 지역에 위치하며, 전라남북도의 경계, 서부 평야와 동부 산간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러한 특징은 이 지역의 자생적인 문화와 함께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어 공존하고 충돌하며, 또 다른 문화의 변이가 생성되는 원리를 제공했다고 하겠다.

전라북도 민요에는 전라도의 대표적인 소리인 육자배기 토리가 많다. 실제로 동부 산간 지역의 농요는 대부분 경상도와 같은 메나리 토리로도 불린다. 특히 동남부 산간 분지인 순창은 판소리 발생지로 이 지역의 기층 음악인 농요에 판소리의 양대 선법, 즉 남도 계면조[육자배기 토리]와 우조[남도 경토리]가 고르게 분포한다는 사실은 판소리 음악 어법의 근원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순창 민요의 특징]

순창 민요의 장단은 주로 판소리의 주요한 네 가지의 장단 틀인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을 고루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 민요에 많이 쓰이는 세마치장단도 많이 사용된다. 순창 민요의 종류에서 특히 농가 소리[농요]는 「물품기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김매는 소리」, 「장원질 소리」 등으로 일하는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된 소리가 많이 남아 있다. 이와 함께 민요의 전승 상태가 아직도 양호하며, 그 음악적 내용이나 가창 방식 등에서도 다양한 층위를 보이는 지역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